목차
책 머리에
1부 의열투쟁 초기의 비사와 진실
1장 의열단 창립단원은 10인이었다
1. 이끄는 말
2. 의열단 창립단원에 관한 『약산과 의열단』의 서술 검토
3. ‘단원’ 범위 밖의 조력자 그룹
4. 창립단원 비정(批正)과 숫자 ‘13’의 의미 해석
5. 정리
2장 의열단의 제1차 국내거사 추진과 실패의 전말
1. 들어가는 말
2. 거사계획 수립과 폭탄 구득 및 국내 밀송
3. 단원들의 국내 잠입과 거사준비 진행
4. 거사 실패 (1): ‘밀양폭탄사건’
5. 거사 실패 (2): ‘진영사건’
6. 구영필에 대한 의혹 제기와 그 근거들
7. 또 다른 의혹: 밀고설과 그 배경
8. 요약과 정리
3장 1920년 서울, ‘암살단’의 결성과 의열투쟁 기획
1. 머리말
2. 암살단 성립의 배경과 계기
3. 암살단 결성과 조직 확장
4. 미국 의원단 내한에 즈음한 암살단의 의거 추진
5. 암살단 의열투쟁의 의의와 교훈
[보론] 무장독립운동과 의열투쟁
2부 독립운동의 이론·사상과 그 실천
4장 의열투쟁과 테러(리즘) - 바로 보고 제대로 이해하기
1. 머리말
2. 독립운동사 연구에서 ‘의열투쟁’의 개념과 의미
3. 의열투쟁과 테러(리즘)의 연관성에 대한 국내 담론 상황
4. 테러(리즘)의 역사적 의미론
5. 테러리즘의 사회과학적 개념
6. 의열투쟁과 테러(리즘)의 상관성 유무와 정도: 결론에 대신하여
5장 폭력과 반폭력, 혁명적 폭력
- 3.1운동 다시 보기와 신채호 사상 다시 읽기
1. 문제 설정과 그 맥락
2. 3.1운동에서 폭력시위의 출현과 빈발
3. 민중적 폭력의 저변과 내면
4. 3.1운동 이후 폭력항쟁 노선의 정립
5. ‘혁명적 폭력’의 사상적 모색과 실천
6. 폭력과 평화 사이의 반폭력
6장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과 의열단(계)의 실천 행로
1. 「조선혁명선언」 이후 100년
2. 「조선혁명선언」 발포의 맥락
3. 「조선혁명선언」에 개진된 혁명사상과 그 논리
4. 의열단과 그 후계조직들에서 조선혁명론의 계승과 실천
5. 맺음말: 「조선혁명선언」의 역사적 의의와 현재적 의미
3부 조선의용대의 용전분투와 묻힌 역사
7장 화중·화남 항일전선에서 조선의용대의 참전 양상과 실적
1. 문제 설정
2. 제1구대의 항일전투(참가) 양상과 성과
3. 제2구대의 항일전투(참가) 양상과 실적
4. 조직 증편과 제3지대의 강서성 전투 참가
5. 2개 독립분대의 분투
6. 맺음말
8장 조선의용대의 화북진출과 태항산지구 정착, 그 배경과 경위
1. 문제 제기
2. 조선의용대의 북상항일 추진과 화북진출 결정
3. 조선의용대의 북상 이동과 태항산 항일근거지 진입
4. 북상 의용대의 진로에 관한 회고들: 비판적 검토
5. 북상 의용대의 종착지가 낙양에서 조정되었을 것임과 그 이유
6. 요약과 결론
9장 화북의 조선의용대와 호가장 전투
1. 머리말
2. 화북지대의 성립과 활동
3. 호가장 전투, 그 전모와 의의
4. 호가장 전투의 4열사
5. 화북전투 및 전사자에 대한 중경 총대부의 인지와 추도
6. 호가장 전투의 의의와 음영
7. 맺음말
4부 새 자료로 보는 조선의용대와 조선민족혁명당
10장 새로 찾아낸 『조선의용대(통신)』의 호·기와 지면들
- 조선의용대의 숨결과 자취가 온전히 전해지다
11장 1940년대 조선의용대와 조선민족혁명당 간부진의 초상
1. 혼벡의 손을 거쳐 문서고에 잠들어 있던 사진과 편지
2. 한길수의 조선의용대와의 인연
3. 사진자료의 구성과 내용
4. 자료의 현재적 가치와 시사점
12장 조선의용대를 지켜내려 한 조선민족혁명당의 노력과 좌절
- 1942년의 「민혁·한독 통일회의 경과 개황」 검토
각 장의 원출처
인명 색인
사항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