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_잃어버린 것과 되찾은 것에 대한 굵고 선명한 기록
1부 비상계엄
1장 국민의 기본권을 공격한 대통령
2장 “지켜라 국회를, 막아라 계엄을”
3장 ‘국회 점령’ 군사 작전의 주도자들
4장 12.3 계엄이 ‘위헌’이자 ‘내란’인 법적 근거
5장 비상계엄 선포에서 해제까지, ‘헌정 유린’ 433분
6장 윤석열의 반헌법적 행위, 역사가 기억할 것이다 (12.3 비상계엄 담화문, 포고령 전문)
7장 다시 탄핵안 가결까지, 멈춰버린 국민의 시간
[민주주의를 위한 기록]
- 우원식 국회의장의 긴박했던 그날 밤
- 내란 우두머리의 반헌법적 발언들
2부 민주 시민
1장 계엄의 밤, 국회를 지킨 평범한 사람들
2장 “반국가 세력 윤석열은 당장 하야하라” (사회 각계각층의 시국선언문)
3장 우리가 민주주의를 지켜냈습니다
4장 서로를 가르친 28시간, 남태령은 ‘학교’였다
5장 남태령에서 광화문으로, 시민이 온다
6장 이 사람들이 있는데 우리가 어떻게 져?
[민주주의를 위한 기록]
- 계엄의 밤을 기억하는 시민들의 목소리
- 국회가 대한민국 국민께 드리는 감사문
3부 민주주의의 적들
1장 내란 세력의 헌법재판소 무력화 시도
2장 헌법의 명령을 거부한 두 명의 권한대행
3장 주술에 빠진 대통령과 그 곁의 사람들
4장 도로 친윤당, 국민의힘의 현실 부정
5장 ‘비선 문고리’ 노상원 수첩과 계엄 설계
6장 극우에 순종하라, 전광훈이 구원하리니
7장 윤석열의 부정선거 유니버스, 그 오래된 기원
[민주주의를 위한 기록]
- 내란 옹호와 법치 파괴의 궤변들
- 윤석열의 12.3 비상계엄 준비·실행 일지
- 1·19 서울서부지방법원 폭동 사건 개요
4부 헌재의 시간
1장 헌법 수호의 최전선에서
2장 말 맞추기에 실패한 윤석열과 김용현
3장 탄핵심판 피청구인 윤석열의 자기 부정
4장 반성 없는 대통령, 잘못 뉘우치는 군인
5장 역사적 평가와 기록을 두려워한다는 것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의 증언)
6장 이상한 구속 취소와 헌재를 흔드는 세력들
[민주주의를 위한 기록]
- 윤석열 최후의 변명 팩트체크
- 윤석열의 변호사들은 무엇을 변호했는가
5부 다시, 민주주의
1장 윤석열 파면, 민주주의의 새 시작
2장 윤석열 탄핵사건 선고 요지 전문
3장 헌재 결정문 깊이 해석하고 음미하기
4장 민주주의를 지키려면 민주주의자가 필요하다
5장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의 탄생부터 몰락까지
부록 | 계엄에서 파면까지, 123일의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