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함께하는 시대를 향하여
1 남녀공존의 뉴노멀
남녀공존의 뉴노멀 21
남녀동수의 의미 24
동등한 대표성 / 공존을 위한 룰
새로운 룰이 필요한 이유 27
진정한 민주주의의 출발점 / 갈등을 넘어 공존으로 /AI혁명, 다름에서 오는 편견 해소
남녀동수 이론의 토대 30
프랑스 공화주의와 추상적 개인 / 추상적 개인에 대한 재정의 / 할당제에서 남녀동수로
국제지수로 보는 현실 37
남녀동수를 진단하는 국제지수 / 여성국회의원 비율 121위/ 유리천장지수 12년 연속 꼴찌 / 성별 격차 105위
배려를 넘어 동등 참여의 시대로 44
2 남녀동수, 프랑스에서 일본까지
남녀동수로 가는 길 49
남녀동수를 위한 국제적 협력 51
여성권리장전, 차별철폐 협약 / 베이징선언과 남녀동수/ 유엔여성지위위원회와 유엔여성기구
남녀동수로 가는 서로 다른 길 55
프랑스, 남녀동수 교과서가 되다 / 멕시코, 여성이 통치하는 나라/ 독일, 남녀동수 정당에 맡기다 / 스페인, 모든 권력의 절반은 여성에게 / 캐나다, 동수내각의 물결을 만들다 / 미국, 적극적 차별시정조치의 나라 / 일본, 절반의 성공
3 남녀동수, 대한민국 현주소
한국 여성정치, 121위에 머물다 89
비례대표에서 지역구로 92
여성정치를 살린 비례대표제 / 비례대표가 모두 여성이라도 / 남녀동수 비례대표제가 되기까지 / 정당이 외면한 지역구 할당제 / 의무공천제가 만든 지방의원 33.4%
여성, 남녀동수에서 길을 찾다 100
여성이 제안한 남녀동수선출제 / 지역구 여성할당제 30% 의무/ 동수정치로 패러다임 전환 / 여성 지도자 100인 선언 / 성차별 해소를 위한 개헌여성행동 / 국회에서 남녀동수 개헌 논의/ 남녀동수의 구심점이 된 한국여성의정 / 남녀동수, 국민 60% 찬성/ 5.25 남녀동수의 날 선포
남녀동수법, 어디까지 왔나 113
지역구 할당제의 위헌 논란 / 동수 헌법 논의 시작 / 남녀동수는 정당이 먼저 / 남녀동반선출제 발의 / 최초의 남녀동수 3법 동시 발의 / 남녀동수 지원법 제안
행정부의 남녀동수 125
최초의 남녀동수 기준 / 행정부의 여성 각료 / 양성평등기본법의 한계
4 이제는 남녀동수
남녀동수가 답이다 133
남녀동수를 위한 제도개선 136
헌법개정 먼저 / 선출직남녀동수기본법 제정 / 남녀동수 3법 개선
남녀동수를 이끄는 전담기구 설치 146
입법부 남녀동수기구 / 남녀동수위원회 구성 / 국회 남녀동수처와 남녀동수원 신설
함께 준비하는 남녀동수 149
여성정치인 경쟁력 강화 / 남녀동수 정치문화 확산 / 공존을 위한 남녀동수 교육
부록 175
프랑스 선거권과 선출된 직위의 남녀평등에 관한 법 (2007.1.31.)일본 정치분야 남녀공동참여 추진에 관한 법률 (2018. 5. 23.)프랑스 남녀동수감시소 설치법(1995.10.18.)더 읽을거리
주 153 / 참고문헌 167 / 표ㆍ그림 출처 173 / 찾아보기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