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치료학 세트 (제9판) Heidi McHugh Pendieton
☆☆☆☆☆ 평점(0/5)
한미의학 | 2025-05-12 출간
판매가
90,000
즉시할인가
90,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상품정보
책 소개
목차
PEDRETTI’S 작업치료학 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 제1편
PART I 개요: 신체적 기능장애에 대한 작업치료 기초 1

1 작업치료 실행체계와 신체장애인을 위한 작업치료 1
작업치료 실행체계: 영역과 과정 4판: 개요 2
OTPF-4: 설명 5
작업치료 과정 11
OTPF-4의 학습 전략 15
OTPF-4: 이 책에서의 활용 17

2 신체장애 작업치료의 역사와 임상의 변화 19
작업치료의 기초 20
현대 실무를 이해하기 위해 역사를 활용하기 29


PART II 작업치료 과정 및 실행 31

3 신체장애를 위한 작업치료 실행체계 적용 31
SECTION 1: 작업치료 과정 32
작업치료 과정의 단계들 32
중재 과정에서의 임상적 추론 39
배경상황을 고려한 임상적 추론 41
클라이언트 중심 임상 41
이론, 실행모델, 이론의 틀 42
작업치료 전문가들의 협력 45
윤리학 47
SECTION 2: 신체장애를 위한 임상 환경 48
연속적인 건강관리체계 49
원격의료와 원격건강 57

4 작업치료를 위한 근거 기반 실행 59
근거 기반 실행의 모델 60
체계적 작업치료실행 모델 60

5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건강증진, 웰빙, 삶의 질 71
역사적인 영향과 고려 72
건강증진 원리 및 실행 74
건강증진 실행의 모델 75
건강증진과 예방에 관련된 작업치료 77

6 장애의 인생 경험: 장애 관점과 작업 정의의 교차점 85
맥락: 작업을 지원하는 환경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 87
개인적 요인 87
환경적 요인 88
작업 정의 95
작업치료사에게 미치는 영향 98

7 작업치료 서비스의 실행 105
작업치료에서의 실행전략 105
실행과학과 작업치료 105
학습의 단계 108
학습능력 108
절차적 학습과 서술적 학습 108
작업치료 서비스 실행전략 109
학습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5

8 작업치료 서비스의 문서화 117
문서화의 목적 118
최적의 실행 118
임상적/전문적 추론 기술 121
법적 책임 122
초기평가 122
중재 계획 124
경과 보고서 127
전자 문서 131
작업치료 서비스 문서화 형식 131
기밀과 문서 136

9 임상에서의 감염통제와 안전문제 139
임상에서의 안전 권고사항 140
특수장비 사용 시 주의사항 141
감염 통제 144
사고 및 응급 상황 151


PART III 작업수행과 수행영역: 평가와 중재 157

10 일상생활활동 157
일상생활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정의 159
일상생활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분석과 훈련에서 고려할 요인 159
ADL과 IADL의 평가 164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166
건강관리 200
ADL과 IADL 훈련 201
특정한 일상생활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기술 204

11 이동성 247
SECTION 1: 기능적 보행 249
보행의 기초 250
기능적 보행 활동 254
SECTION 2: 휠체어 평가와 이동 259
휠체어 259
휠체어 평가 260
휠체어 주문 시 고려사항 260
휠체어 선택 262
휠체어 측정 과정 266
아동 휠체어 268
비만자용 휠체어 268
부가적인 고려사항 268
정당화 및 처방 준비 270
휠체어 안전 271
이동 기초 272
이동 기술 274
SECTION 3: 운전과 지역사회 이동성 284
작업치료의 역할 284
운전 287
다양한 장애에 대한 중재의 의미 302
대중교통 307
개인 교통 309
탑승자로서 여행하기 311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 314
차량 내 평가 317

12 성생활과 신체장애 319
성생활과 장애에 대한 반응 321
가치 명확화 325
성적 개인사 325
성적 학대 326
신체적 기능장애의 영향 327
성적 대리인 335
교육 방법 335

13 수면과 휴식 339
작업치료에서 수면과 휴식의 역사 340
작업치료에서 수면의 요구 342
작업치료의 휴식의 필요성 342
수면과 휴식 그리고 작업적 정의 343
사회/문화적 영향에서 수면의 역사 343
수면장애 350
작업치료와 수면 362
작업치료 평가 362
수면과 휴식에 대한 작업치료 중재 366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의 작업치료 중재 368

14 작업평가와 작업기능강화 프로그램 377
작업기능강화 프로그램에서 작업치료 참여의 역사 378
작업기능강화 프로그램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 381
산재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 381
기능적 능력평가 382
직업능력평가 384
직무요구 분석 385
작업기능강화/작업신체능력향상 387
직무적합성 평가 388
작업장 평가 390
인간공학 391
장애예방 근로자 웰니스 프로그램 406
학교에서 작업장으로 전환 서비스 409
직업준비 프로그램 409
작업활동 그룹 410
지역사회 기반서비스 410
복지-직업전환 프로그램 411
고령근로자 412

15 미국장애인법 그리고 일, 여가, 일상생활활동의 참여를 촉진하는 관련 법 415
서론 415
미국장애인법(ADA) 416
항공기접근법 439
공정주거개정법 441
중재로서의 옹호 442

16 여가 작업 445
신체장애를 동반한 사람들을 위한 여가와 삶의 만족도 446
여가 작업에서의 웃음과 놀이의 이점 448
의미 있는 여가 활동: 나이, 문화적 이슈, 성별 450
여가 작업: 평가와 중재 454

17 보조기술 461
보조기술이란 무엇인가? 461
치료와 작업 가능화 기술 462


PART IV 수행기술과 클라이언트 요인: 평가와 중재 473

18 수행기술: 작업치료 실행체계 맥락에서의 정의와 평가 473
최신 작업치료 실행체계 473

19 운동조절 평가 485
위운동신경세포와 아래운동신경세포체계 489
운동조절의 문제 영역을 찾기 위한 클라이언트-중심 수행능력 인터뷰 490
운동조절을 위한 일상생활활동의 표준화된 평가 490
근긴장도 492
비정상적인 근긴장도 493
근긴장도 평가 496
정상적인 자세역학 499
협응 503
비협응 503
협응 평가 506
작업치료 중재 506
재활 로봇 511

20 작업기반 기능운동평가 515
임상관찰 516
작업기반 기능운동평가 518

21 관절가동범위 523
관절가동범위와 작업치료 실행체계 4판 524
관절 측정 526
관절 측정의 원칙과 진행 527
관절 측정 방법 530
측정 기록 533
수동관절가동범위 측정기록절차 536
움직임 선별 538
척추 541
팔(상지) 545
다리 561

22 근력의 평가 565
근력 566
근약화의 원인 567
근력을 평가하는 방법 567
도수근력검사 568
도수근력검사의 원칙 575
팔의 도수근력검사 577
다리의 도수근력검사 615
중재 계획의 기초가 되는 평가 결과 622

23 감각평가와 감각 기능장애의 중재 625
뇌의 신체영역배열 627
신경가소성 628
체성감각계 628
탈민감화/탈감작 640
감각 재교육 641

24 뇌 손상 후 시각 결손의 평가와 치료 647
일상활동에서 시각의 역할 647
뇌에서의 시각 처리에 대한 간략한 개요 648
평가와 중재를 위한 틀 651
시각 손상이 작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653
작업치료 평가와 중재 과정 654
특정 시각 결함에 대한 평가 및 중재 657

25 지각기능장애의 평가와 중재 691
작업치료 평가의 일반적 원칙 692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법 693
특정 지각장애의 평가와 중재 694
지각기능장애의 행동적 양상 703

26 인지장애로 제한을 받는 작업수행의 평가와 치료 705
인지와 작업치료 705
작업치료 임상(실제)을 가이드하는 모델의 개관 706
적절한 평가도구 선택하기 709
작업수행을 제한하는 인지기능장애 관리: 평가와 중재 713

27 먹기와 삼키기 733
정상 삼킴 작용의 해부학과 생리학 735
먹기와 삼키기 평가 740
장치를 이용한 평가 750
중재 751

28 통증관리 769
통증의 정의 770
통증의 생체심리사회적 모형 770
통증증후군 771
평가 772
치료적 중재 774


PEDRETTI’S 작업치료학 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 제2편

PART V 작업치료 과정: 중재의 실행 779

29 치료적 작업과 중재 779
작업치료 중재 780
중재 선택과 관련된 개인, 환경 및 작업 781
작업치료 중재 유형 782
작업 분석 및 활동 분석 782
작업과 활동의 등급화 및 적응을 통한 중재 접근법 783
등급화(교정) 784
작업을 지원하는 중재 788
치료적 운동 및 치료적 활동 788
물리적 치료도구 796
기계 장치 800

30 팔 보조기 803
팔 해부학 805
보조기 제작: 유형과 목표 811
고정형 보조기 811
이동 보조기 815
보조기 제작 원칙 816
보조기 제작 과정 817
상용화된 시판 보조기 825

31 치료용 팔 지지대와 로봇 보조 치료 827
치료용 팔 지지대 828
로봇 보조 치료 839

32 중재를 위한 전통적인 감각운동 접근법 845
중추신경계의 움직임 조절 846
감각운동 중재 접근법과의 관계 850
운동조절의 반사와 계층모델 851
SECTION 1: 전통적인 감각운동 중재접근법들 851
Rood 접근법 851
브룬스트롬(운동 치료) 접근법 852
고유감각신경근육촉진 접근법 853
신경발달치료 접근법 853
SECTION 2: 고유감각신경근육촉진 접근법 854
역사 854
중재 원리 855
운동학습 857
평가 858
중재 계획 수립 859
SECTION 3: 신경발달치료 접근법 872
신경발달치료의 정의 872
신경발달치료법의 역사적 배경 874
Berta Bobath의 발달 이론: 초기 개념과 시간에 따른 변화 876
신경발달치료 실행모델을 활용한 작업 참여 회복 881
신경발달치료와 근거기반 실행 886

33 운동학습 889
운동학습의 기초이론 889
강제유도운동치료 891
로봇재활 897
가상현실공학 897
양측훈련기술 898
행동관찰, 거울치료, 상상연습 898


PART VI 중재 적용 901

34 뇌혈관사고(뇌졸중) 901
뇌졸중의 정의 902
뇌졸중의 원인 903
뇌졸중의 결과 904
의학적 관리 908
뇌졸중 클라이언트의 평가와 중재 절차 909
중재를 위한 이론의 틀 적용 912
뇌졸중 후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기능적 제한 915
신경행동/인지-지각장애로 인한 작업수행 결여 923
팔 기능장애로 인한 과제수행의 결여 926
시각장애로 인한 과제수행의 결여 932
심리사회적 적응 932

35 외상성뇌손상 937
역학 938
병태생리학 939
혼수와 의식의 단계 942
임상적 증상 946
하위 RLA 단계에서 개인의 평가 955
하위 RLA 단계에서 개인의 중재 955
중간 이상의 RLA 단계에서 개인의 평가 961
중·고위 이상의 RLA 단계에서 개인의 중재 964

36 중추신경계 퇴행성 질환 973
개요 974
SECTION 1: 근위축측삭경화증 975
병태생리학 978
임상적 특징 978
의학적 관리 979
작업치료 평가와 중재 979
작업치료사의 역할 981
SECTION 2: 알츠하이머병 982
발생률과 유병률 982
병태생리학 983
임상적 특징 984
의학적 관리 987
작업치료사의 역할 988
평가 988
작업치료 중재 990
SECTION 3: 헌팅톤병 991
발생률 991
병태생리학 991
임상적 특징 991
의학적 관리 993
작업치료사의 역할 993
SECTION 4: 다발경화증 996
발생률 996
원인 996
임상적 특징 997
의학적 관리 997
작업치료사의 역할 998
목표 설정과 중재 1000
SECTION 5: 파킨슨병 1001
유병률 1001
병태생리학 1002
임상적 특징 1002
의학적 관리 1005
작업치료사의 역할 1006

37 척수손상 1011
척수손상의 정의 1012
임상 증후군 1014
회복에 대한 예후 1015
척수손상 환자의 내·외과적 처치 1015
척수손상 후 합병증 1016
척수손상 재활 1019
중재 목표 설정 1022
작업치료 중재 1023
성기능 1035
수면과 휴식 1036
아동과 청소년의 척수손상 1036
척수손상과 노화 1037
연구 1037

38 운동단위 질환 1041
신경성 질환 1043
말초신경병증 1043
말초신경 손상 1047
신경근질환들 1051
신경근이음부의 질환: 중증근무력증 1051
근육병증 1053
근위축증 1053

39 관절염 1059
류마티스질환의 개요 1060
뼈관절염 1060
류마티스관절염 1063
작업치료 평가 1066
목표설정 1074
중재 목표와 계획 1074
치료 방법 1075
작업수행 훈련 1083

40 손과 팔 손상 1091
검사와 평가 1093
중재 1102
기능적 역량평가 및 작업강화 훈련 1125
산업계와의 협력자문 1126
손손상의 정신사회적 영향 1126

41 정형외과적 상태: 엉덩관절골절과 엉덩관절,
무릎과 어깨관절치환술 1129
정형외과적 상태에 대한 소개 1129
SECTION 1: 엉덩관절골절과 인공관절치환술 1132
골절의 일반적인 의료관리 1132
엉덩관절골절 형태와 의학적 관리 1133
낙상 예방 1135
엉덩관절치환술 1135
엉덩관절골절이나 인공관절치환술 클라이언트를 위한 작업치료의 역할 1139
SECTION 2: 무릎관절치환술 1144
원인과 의학적 관리 1144
무릎관절치환술에 대한 특별한 고려사항 1146
무릎관절치환술 클라이언트를 위한 작업치료의 역할 1147
SECTION3: 어깨관절치환술 1150
원인 및 의학적 관리 1150
어깨관절치환술에 대한 특별한 고려사항 1153
어깨관절치환술 클라이언트를 위한 작업치료의 역할 1153

42 요통 1159
분류 1161
요통의 일반적인 원인 1161
척주와 근육의 고찰 1161
작업치료 평가 1163
작업치료 중재 1165
클라이언트 중심 작업치료 분석 1172
자주 영향을 받는 작업에 대한 중재 전략 1173
다학제 통증 팀 구성원들 1182

43 화상과 화상재활 1185
화상의 유병률과 사망률 1186
피부해부학 1186
피부의 기능 1187
화상의 기전과 화상의 깊이 1188
총체표면적 손상 비율 1190
손상의 정도 1190
상처의 회복 단계 1192
초기 의학적 관리(응급기) 1194
관련 문제들과 합병증 1200
화상재활 1202
작업치료 평가 1205
작업치료 중재 1207
화상과 관련된 합병증 1220

44 절단과 의지 1225
SECTION 1: 팔절단의 일반적인 고려사항 1226
절단의 원인과 발생률 1226
절단 수준 분류 1226
팀 접근 방법으로의 재활 1227
수술적 관리 1227
SECTION 2: 팔절단 1227
의수착용 전 훈련 1228
의수 선택 1233
의수체계의 종류 1233
의수착용 프로그램 1241
중간 단계 의수 훈련 1243
심화된 의수 훈련 1246
양쪽 절단을 위한 고려사항 1250
결과 측정 1251
최근 연구와 기술 발달 1252
SECTION 3: 다리절단 1254
다리절단 수준 1254
다리절단 원인 1255
수술 후 잔여 팔다리 관리 1255
의지 및 관련 장비 1256
작업영역의 참여 1257
클라이언트 요소 1258
수행기술 1258
수행 패턴 1259
심리사회적 영향 1259
배경과 활동 요구 1259
노인 클라이언트를 위한 추가 고려사항 1260

45 심폐질환 1263
해부학과 순환 1264
무엇이 심장을 수축하게 하는가? 1266
심장주기 1266
허혈심장병 1266
판막질환 1268
심장질환을 일으키는 위험요인 1268
의료적 관리 1269
호흡기의 해부학과 생리학 1274
호흡계의 신경분포 1275
만성폐질환 1275
폐질환을 유발하는 위험요인 1277
의료적 관리 1277
평가 1279
중재 1280

46 암과 종양학 재활 1285
암 및 종양학 재활 개요 1286
치료 선택 1286
작업치료와 암: 영역과 과정 1287
직업치료사가 종양학 재활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평가 1287
암과 치료와 관련된 중요한 이차적 조건 1288
림프부종 1292
완화치료 및 호스피스 1293

47 노년층의 특수 요구 1295
개요 1296
건강과 생산적 노화 1297
내 집에서 여생 보내기 1298
작업 1300
환경 및 개인적 요인 1307
평가와 중재 1310
노화 과정 1313
정신구조와 기능의 변화 1314
감각 구조와 기능의 변화 1318
신경근육골격계 및 움직임과 관련된 구조와 기능의 변화 1320
심혈관계, 혈액계, 면역계, 호흡기계 구조 및 기능의 변화 1321
목소리와 언어 기능:
소화, 대사, 내분비 기능; 비뇨생식 및 생식기능의 변화 1322
피부 및 관련 구조기능의 변화 1324

48 HIV 감염과 에이즈(AIDS) 1327
HIV 감염의 기원과 현재 상태 1328
감염 과정 1330
전파 1331
진단 1331
약리학 1332
노화와 HIV 감염 1334
HIV/AIDS의 신경학적 후유증 1335
신경병증 1336
치매 1336
HIV/AIDS 병리학: 클라이언트 요인 1338
긍정적 예방 1338
평가 1339
중재 1343

49 다발성외상과 작업치료 1347
다발성외상 1348

50 호스피스 작업치료와 완화치료 1359
호스피스와 완화치료 1360
작업치료 서비스를 위한 근거 기반 1361
작업치료의 역할 1362
실무자 자기 돌봄 1379

51 치료적 자기 사용: 작업치료에서 마음챙김 구현하기 1381
서문 1382
치료적 자기 사용 1383
치료적 자기 사용에 대한 환경적 영향 1384
마음챙김과 치료적 자기 사용 증진 1385
서양의학, 의료 및 사회에서의 마음챙김 1389
작업치료 실천에 마음챙김 통합하기 1393
작업치료와 마음챙김의 통합: 마음챙김 기반 작업치료 역량 1395
지금 적용하기: 실습 설명 1396

52 작업치료에서의 원격의료 서비스 1403
원격의료의 정의, 형식 및 제공 유형 1404
작업치료 실무에서의 일반적인 고려사항 1405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의 이점과 과제 1406
최적의 제공 전략 1407
특정 집단 고려사항 1409
그룹치료 제공 1410

53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기타 라이프스타일 중재 및 자기 관리 1413
라이프스타일 재설계의 기초와 개념 1414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평가 및 중재 과정 1415
자기 관리 및 기타 라이프스타일 중재 1419
라이프스타일 재설계와 원격의료 1420
초기 진료에서의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사용 1420
라이프스타일 재설계의 미래 방향 1421
책제원정보
ISBN 9791194456117
판형정보 1435쪽 / 215 X 275mm
출판사 한미의학
출판일 2025-05-12 출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 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
        (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에는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

선택된 상품

  • 작업치료학 세트 (제9판)
    90,000원

총 주문금액

9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