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프롤로그-여러분의 꿈을 향한 날갯짓을 응원하며 - 4
1장
공부의 이해와 전략
공부란 무엇인가? - 공부의 의미 - 14
공부는 어떻게 향상되는가? - 공부의 원리 - 16
왜 공부하는가? - 동기부여 - 20
어떻게 공부하는가1 - 공부의 기본, 암기 - 24
어떻게 공부하는가2 - 집중의 힘, 몰입 - 30
어떻게 공부하는가3 - 전체를 보라, 메타인지(metacognition) - 32
입시 공부의 전략 - 교과서, 문제집 활용법 - 35
어렵게 느껴지는 과목과 친해지는 법 - 38
마음 근육을 강화하라1 - 난 할 수 있어, 자기 효능감(self-ef ficacy) - 40
마음 근육을 강화하라2 - 근성이 있는가, GRIT - 42
융합의 시대, 융합적으로 사고하라 - 문 · 이과의 구분은 없다 - 44
2장
고등학교 선택
학교 알리미를 활용하라 - 50
학교 홈페이지를 활용하라 - 53
학교 설명회에 참석하라(1:1 맞춤형 설명회 포함 - 학생, 학부모) - 55
학교 방문 입학 설명회에 참석하라(학생) - 56
지역 교육청, 지방자치단체 주관 고교 입학 설명회를 활용하라(학생, 학부모) - 57
3장
고등학교 생활
고등학교 3년, 뭘 해야 할까? - 반드시 해야 할 일 - 60
고등학교 입학 전 준비해라 - 중3 겨울방학 때 준비할 일들 - 61
중학교 생활과 고등학교 생활의 차이를 알아보자 - 고등학교 하루 일과 - 63
성공적인 고등학교 생활을 위해 꼭 지켜야 할 일 - 66
학교 생활을 위한 알쓸신잡(알아 두면 쓸 데 있는 신비한 잡학지식) - 71
4장
진로를 설계하다
진로설계 1 - 먼저 나를 알자 - 77
진로설계 2 - 다양한 진로, 직업을 탐색해 보자 - 84
진로설계 3 - 다양한 경험이 너를 깨닫게 하리라 - 89
진로설계 4 - 진로 멘토를 찾아라. 없으면 만들라 - 91
진로설계 5 - 다양한 진로활동을 실행해 보라 - 93
진로설계 6 - 자신의 진로 성숙도를 파악하며 나아가라 - 95
진로설계 7 - 진로 학업 설계도를 만들라 - 97
5장
고교학점제 1 - 고교학점제가 뭐예요?
어서 와, 고교학점제는 처음이지? - 104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무엇이 달라지나? - 106
고교학점제에 따른 학사제도 운영 - 110
고교학점제의 단계적 도입 과정 - 112
과목이수와 학점 취득 - 115
과목 이수기준 적용과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 - 117
고교학점제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 121
고교학점제를 위한 다섯 가지 전략 - 122
6장
고교학점제 2 - 과목선택
자신의 희망 진로, 희망 학과를 고려해서 선택하라 - 129
진로를 정하지 못했다면 계열(군) 위주로 선택하라 - 134
융합의 시대, 과학의 시대임을 고려하라 - 137
진로냐? 등급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 139
과목별 성적 산출(평가) 방법을 확인한 후 선택하라 - 140
수학, 과학 과목의 경우 과목 간 위계를 고려하라 - 141
과목 선택을 위한 조언 - 142
7장
교육과정 1 - 2015, 2022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2025년 기준 2, 3학년에 적용되는 교육과정) - 146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편제 - 147
2015 개정 교육과정에는 어떤 과목들이 있나? - 149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이수기준 - 152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 154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 핵심역량(2022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 - 157
2022 개정 교육과정(2025년 기준, 1학년에 적용되는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 159
2022 개정 교육과정 시행에 따른 변화 - 161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편제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어떻게 다른가? - 162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은 어떻게 바뀌는가? - 165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인간상,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 168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내신관련 주요 내용은? - 169
8장
교육과정 2
- 공동교육과정, 온라인 학교, 소인수 교육과정
교육 과정표를 이해하자 - 174
공동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 181
온라인 학교란 무엇인가? - 186
소인수 교육과정을 활용하라 - 190
9장
학교생활기록부
학교생활기록부, 누가 입력하나? - 192
교과별 평정방식은 어떻게 되나? - 197
독서활동은 어떻게 입력되나? - 199
영역별 입력가능 최대 글자 수는 어떻게 되나? - 200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방안(2019. 11. 28.)에 따른 학생부 주요변경사항은 무엇인가? - 201
10장
대입제도
대학 입학 전형의 주요 일정은 어떻게 되나? - 204
고3 학생들의 연간 대입전형 일정은? - 206
대학 입학 전형에는 어떤 것이 있나? - 208
대입 전형별 모집인원의 주요 특징은? - 210
수시와 정시는 어떤 차이가 있나? - 214
주요 대학의 전형별 평가요소 및 비율은? - 215
수시_학생부 위주 종합 전형이란? - 218
수시_학생부 위주 교과 전형이란? - 228
수시_논술 전형은 어떻게 준비하나? - 232
수시_실기/실적 위주 전형(예체능 실기 제외)은 어떻게 준비하나? - 237
정시_수능 위주 전형이란? - 240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주요일정 - 246
2027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주요일정 - 248
2026학년도, 2027학년도 수능/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편 확정안 비교 - 250
수험생 유의사항은? - 253
부록
단원별 주요 사이트(QR 코드) - 258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과목 안내 - 267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과목 안내 - 272
에필로그-드디어 날아오르다 - 280
미주 -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