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초판 서문
금강경
머리말
싼쓰끄리뜨어 원전, 번역과 해설
1. 법회 인연
a. 법회의 발단(1분)
b. 쑤부띠가 법문을 청함(2분)
2. 보살의 여정
a. 보살의 서원(3분)
b. 바라밀의 실천(4분)
c. 붓다의 모습과 서른두 가지 특징(5분)
d. 붓다의 모습과 법신
da. 가르침의 본체로서의 법신(6분)
db. 영적 인식의 결과로서의 법신(7분)
dc. 공덕의 결과로서의 법신(8분)
3. 영적 삶의 세계
a. 위대한 네 성현들(9분)
b. 깨달음에 대한 보살의 생각(10분a)
c. 보살과 그의 정토(10분b)
d. 보살의 궁극적인 열반(10분c)
e. 완전한 지혜에 연유한 공덕(11분, 12분)
4. 첫 번째 종결(13분a)
5. 초월성
a. 실체의 변증법적 본질(13분b-d)
b. 가르침의 최고의 탁월성(13분e-14분d)
c. 사심없는 인욕과 완전한 내적 자유(14분e)
d. 존재들의 존재와 존재아님(14분f)
e. 진실과 거짓(14분g)
f. 획득된 공덕, 그 전제와 과보(14분h-16분c)
6. 보살
a. 보살의 서원(17분a)
b. 디빵까라를 만났을 때 보살의 마음 상태(17분b)
c. 여정의 마지막 단계의 보살(17분c-e)
d. 과업에 대한 보살의 태도(17분f-h)
7. 붓다
a. 붓다의 오안(18분a)
b. 타인들의 생각에 대한 붓다의 초월지(18분b)
c. 붓다의 공덕은 공덕이 아님(19분)
d. 붓다의 신체적 몸(20분)
e. 붓다의 가르침(21분)
f. 붓다의 법(22분, 23분)
g. 붓다의 공덕에 대한 재언급(24분)
h. 구원자로서의 붓다와 해방의 본질(25분)
i. 붓다의 참된 본성(26분)
j. 공덕 행위의 결과(27분-29분)
8. 불완전성에 대한 조언
a. 물질계(30분)
b. 관점과 태도(31분)
c. 최고 지식에 이르는 열쇠(32분a)
9. 두 번째 종결(32분b)
부록 Ⅰ : 돈황본의 권두삽화 해설
반야심경
싼쓰끄리뜨어 원전, 번역과 해설
Ⅰ. 발원
Ⅱ. 서언
Ⅲ. 공空의 변증법. 제 1단계
Ⅳ. 공空의 변증법. 제 2단계
Ⅴ. 공空의 변증법. 제 3단계
Ⅵ. 완전한 공空의 구체적 실현과 실천적 토대
Ⅶ. 완전한 공空은 깨달음의 기반
Ⅷ. 비교적 깨닫지 못한 사람들의 손이 닿을 수 있는 곳에 있는 가르침
용어 색인
부록 Ⅱ : 「금강경」 · 「반야심경」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