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감사의 말
차례
제1장 | 서론
제2장 | 형태발생론적 관점에서 본 풀뿌리 민족주의: 한국의 경우
1. 민족주의
2. 한국의 민족주의와 풀뿌리 민족주의
3. 계산적 민족주의
4. 형태발생론적 접근
5. 사회 변화와 형태발생: 구조적·문화적·집단적 정교화
6. 조사 방법
제3장 |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운동: 풀뿌리 시민의 우려와 대응
1. 서론
2. 문헌 검토
3. 조사 방법
4. 일본군 성노예의 형태발생론적 배경
5. 연구 결과
6. 논의와 맺음말
제4장 | 2019년 ‘노 아베, 예스 재팬’ 운동: 국가적 자부심과 정체성 굳히기
1. 서론
2. 문헌 검토
3. 조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맺음말
제5장 | 통일 열차에 무임승차하기: 풀뿌리 시민의 비용편익적 민족주의
1. 서론
2. 문헌 검토
3. 한반도 통일의 형태발생론적 배경
4. 조사 방법
5. 연구 결과
6. 맺음말
제6장 | 2016-2017년 촛불혁명과 풀뿌리 민족주의: 집회에서의 대중 연설 분석
1. 서론
2. 방법
3. 구조: 부패, 권력 남용 및 불평등에 대한 대책을 구하다
4. 문화: 한국 민족주의를 인간화하다
5. 행위성: 정치적 각성과 행동주의의 성장
6. 맺음말
제7장 | 한국의 향수 민족주의자들: 태극기 부대의 투쟁
1. 서론
2. 태극기 부대 운동의 등장
3. 태극기 부대의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 실재론적 분석
4. 방법
5. 탄핵, 진보주의자 및 미디어의 정당성을 따지다
6. 향수, 가짜 뉴스에 대한 믿음, 비합리성
7. 박근혜 석방 및 가짜 뉴스 확산 캠페인
8. 결론
제8장 | 직장 내 갑질에 맞서다: 사례 연구
1. 서론
2. 문헌 검토
3. 형태발생론적 접근
4. 조사 방법
5. 연구 결과
6.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항하는 풀뿌리 시민 운동: ‘직장갑질119’
7. 토론 및 맺음말
제9장 | 맺음말
1. 주요 연구 성과
2. 이론적 함의
3. 경험적 함의
4. 한국은 선진국인가?
5. 프로젝트의 특수성과 보편성
6.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