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스포츠코칭 심리학 개관
1. 스포츠심리학
2. 스포츠심리학 용어 정립과 영역
3. 스포츠심리학의 역사
4. 스포츠심리학자의 역할
5. 스포츠심리학의 목적 및 응용분야
6. 스포츠심리학 연구 경향
7. 스포츠심리학 연구의 미래
제2장. 스포츠와 성격
1. 성격의 개념
2. 성격의 구조
3. 성격이론
4. 성격 측정
5. 성격과 운동수행의 관계
6. 운동선수 성격 연구의 문제점
제3장. 스포츠와 동기
1. 동기의 개념
2. 내적동기 및 외적동기
3. 인지평가이론
4. 자기결정이론
5. 귀인이론
6. 성취목표성향
7. 스포츠 동기유발 전략
제4장. 스포츠와 불안
1. 각성, 불안, 스트레스의 개념
2. 불안의 측정
3. 각성, 불안이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
4. 각성, 불안의 현장적용
제5장. 스포츠와 자신감
1. 자신감의 정의
2. 자신감 이론
3. 자신감 연구
4. 자신감 측정
5. 자신감 향상 전략
6. 자신감 연구의 문제점
제6장. 의사소통
1. 의사소통의 정의
2. 의사소통의 과정
3. 의사소통의 목적과 기능
4. 의사소통 종류
5. 효과적인 메시지 받기
6. 스포츠 지도자들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제7장. 스포츠집단과 응집력
1. 집단 정의
2. 집단 형성과 유형
3. 집단수행
4. 응집력의 정의
5. 응집력의 본질과 원인
6. 응집력 이론
7. 응집력의 측정
8. 팀 응집력과 운동수행
9. 응집력과 집단 안정성
10. 집단 응집력과 만족도
11. 집단 응집성과 순응성
12. 집단 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제8장. 스포츠와 리더십
1. 리더십의 정의
2. 리더십 연구동향
3. 리더십 이론
4. 다차원 스포츠 리더십 모형
5. 효과적인 리더십의 4요인
제9장. 스포츠와 공격성
1. 공격성의 정의
2. 공격적 행동과 적극적 행동
3. 공격성 이론
4. 공격과 운동수행
5. 공격을 부추기는 요인들
6. 공격 및 폭력 근절책
제10장. 사회적 촉진
1. 사회적 촉진의 개념
2. 관중의 유형과 특징
3. 사회적 촉진 연구
4. 사회적 촉진에 미치는 중재변인
5. 스포츠에서의 사회적 촉진
제11장. 심리기술 입문
1. 스포츠 심리기술
2. 심리기술 방법
3. 심리기술의 측정
4. 심리기술훈련의 실시
5. 심리기술훈련의 주의점
제12장. 심리기술훈련의 실제
1. 점진적 이완기법
2. 명상
3. 바이오피드백
4. 심상
5. 호흡 훈련법
6. 자생훈련
7. 주의집중
8. 자기대화
9. 목표설정
10. 인지적 재구성
11. 체계적 둔감법
12. 루틴
제13장. 건강운동 심리학
1. 건강운동심리학의 이해
2. 운동과 정신건강
3. 운동의 심리적 효과에 대한 가설
4. 운동심리 이론
5. 운동중독
6. 운동참여와 중재 전략
제14장. 스포츠 심리상담
1. 스포츠심리상담의 정의
2. 스포츠심리상담 모델
3. 심리상담사의 역할과 윤리
4. 상담의 절차와 과정
5. 상담의 초기 기술
6. 상담프로그램 개발
7. 스포츠심리상담 사례
제15장. 스포츠 코칭
1. 스포츠 코칭의 개념
2. 코칭 리더십 모델
3. 코칭행동의 강화와 처벌
4. 코칭행동의 보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