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장╻역사적 경험이 우리를 이끌다
I. 유신에 균열을 내다(1973. 4.~1973. 12.)
1. 긴급조치 이전 개신교의 저항
2. 10. 2 서울대 시위의 전국 확산
II. 민청학련 사건(1974. 1.~1974. 6.)
1. 긴급조치 1호
2. 긴급조치 4호, 민청학련 사건
III. NCC, 인권위원회를 열다(1974. 4.)
2장╻여성, 시대의 새벽을 열다
I. “이보시오, 내 아들 좀 살려주시오”(1974. 7.~1974. 9.)
1. 마리아의 애통함으로 목요기도회와 함께하다
2. 구속자가족협의회를 구성하다
II. 투사가 된 여성들(1974. 10.~ )
1. 확고한 연대
2. 생사의 갈림길에서 우리는 당당히 선다
III. 조국근대화론을 박차고 나온 기독 여성(1974~ )
1. 한국교회여성연합회와 기장 여신도회 활동
2. 기생관광 반대운동과 원폭 피해자 지원 운동
3장╻치열한 담론투쟁
I. 1차 담론투쟁: 인권과 민주주의 담론투쟁(1973. 12.~1974. 4.)
1. 인권의 주체가 되다
2. 박정희의 텅 빈 민주주의
3. 국민주권과 인권 담론의 기독교적 해석
II. 2차 담론투쟁: 선교 자유 담론(1974. 6.~1975. 1.)
1. 이효상의 종교인 비난 발언
2. 오글 목사 추방 사건
III. 3차 담론투쟁: 인권 담론(1975. 2.~1975. 5.)
1. 석방의 기쁨
2. 인간 존엄과 고문
4장╻시민들의 자발적인 저항 공론장
I. 수많은 기도회 출현(1974. 9.~1975. 5.)
1. 전국 기도회의 확산
2. 기도회 분포
II. 동아일보 백지 광고(1975. 1.~1975. 5.)
1. 동아일보 언론자유 수호 운동
2. 1970년대 시민개념
3. 시민의 자발적인 공론장, 격려광고
4. 개신교인들의 시민의식과 신앙적 자의식
5장╻NCC 선교자유수호대책위원회, 금요기도회를 열다
I. 목요기도회, 두 번의 위기(1975. 4.~1976. 3.)
1. 인혁당 기습 사형 집행과 시신 탈취 사건(1975. 4.~1975. 8.)
2. 3.1구국선언 사건(1976. 3.~1976. 5.)
II. 목요기도회 30년 역사의 초입에 서서
1. 목요기도회 개관
2. 목요기도회의 운동사적 의의
3. 목요기도회, 그 첫 번째 역사
부록
I. 동아, 조선일보로 만나는 “선한 그리스도인들의 십자가 행진” & 목요기도회(1974. 9.~1975. 5.)
II. 1975년 동아일보 백지광고 개신교인의 참여
1. 개신교인들의 격려광고
2. 구속자가족후원회 회장 Sinnott 신부의 격려광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