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제 I 부 한국 제조업의 발달 과정과 시대적 환경 변화
1. 개항 이후 식민지 시대와 대한민국 정부 초기(1910~1960년)의 제조업
2. 제3공화국의 공업화 정책: 한국 제조업의 발단(1961~1979년)
3. 경제성장과 민주화 및 개방 정책(1980~1996년)
4. 외환위기와 제조업의 구조조정(1997~2007년)
5. 경제성장의 감속과 제조업의 선진화(2008년 이후)
6. 소 결
제 II 부 우리나라 경제성장과 제조업의 역할
1. 경제성장과 제조업의 선진화
2. 제조업의 고용효과와 노사관계
3. 제조업의 국제무역과 무역수지에 대한 역할
4. 제조업의 성장성, 수익성, 활동성과 안정성
5. 우리나라 제조업의 생산성과 국제경쟁력
제 III 부 한국 제조업의 경쟁구조적 특성
1. 한국의 주력 제조산업의 현황
2. 우리나라 제조업의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구조적 관계
3. 한국 제조업의 국제화와 해외 투자 및 국내 유턴
4. 산업 기술 개발 현황과 과제
제 IV 부 우리나라 제조업 생태계 및 경영 패러다임의 변화
1. 우리나라 제조업 환경과 국제적 경쟁 모드의 진화
2. 제4차 산업혁명과 제조업의 서비스 융합
3. 제4차 산업혁명과 해외 주요 국가들의 대응 전략
4. 제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스마트 팩토리 전략
제 V 부 미래지향적 한국 제조업의 축적과 추격의 간극
1. 우리나라 제조업과 무본억말(務本抑末)의 역사적 유산
2. 제조업을 위한 과학·기술 축적의 시간과 격차
3. 제조산업의 구조적 편중성 개선 정책: 소수 대기업 의존 탈피,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 서비스 산업의 도약, 신제품, 신소재, 새로운 시장의 확대 개발
4. 생산 요소의 투입량 주도 성장과 저효율성, 저생산성, 저수익성의 덫
5.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업가 정신, 기업구조와 지배구조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과 선도적 사업 포트폴리오 선정
6. 제조업의 재도약을 위한 기업 친화적 사회경제 제도와 장기적인 정부 정책 및 규제 혁파 필요
7.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디지털 플랫폼 혁신 산업 정책’과 제조업의 새로운 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