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1. 개요
1) 음양오행
2) 삼원
2. 운명론
1) 사전적 운명
2) 일반적 운명
3) 역학적 운명
3. 자평명론(子平名論)
1) 시대상
2) 명론
제2장 명리 잡론(帀論)
1. 역학의 태동
1) 역학설
2) 간지론
3) 육십갑자
4) 절기론
2. 명리학의 탄생
1) 천원지방설
2) 중화
3) 명학 개념
3. 명리와 운기론
1) 운기학설
2) 해역
4. 명리학적 위상(位相)
1) 역사적 관점
2) 인식적 오류
3) 학술적 오류
4) 논리적 오류
5) 계몽적 입지(立旨)
5. 명리학적 생사여탈 논리
1) 오행 생사
2) 격국 생사
3) 재액 생사
6. 일주론의 개념
1) 일주의 형상(形象)
2) 일주 분석
7. 개명(改命)론
1) 정원론
2) 개운론(開運論)
8. 간명지 작성법
제3장 통변의 묘리
1. 추명가 논리
1) 남명
2) 여명
3) 운행
4) 수명(壽命)
5) 해역
2. 하지장
1) 신취팔법(神趣八法)
2) 숙어
3) 신원(身元)론
4) 신수(身數)론
제4장 명학적 물리(物理)
1. 명리(命理) 논리
1) 삼반물(三盤物)
2) 청탁(淸濁)
3) 정신기(精神氣)
4) 기(氣)와 정(情)
5) 유근(有根)과 무근(無根)
6) 동정(動靜)
7) 개두(蓋頭)·절각(截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