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머리말
제1장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
제1절. 급변하는 지구환경
1. 새로이 제작되는 세계 지도
2. 지구온난화가 아니라 지구 열대화 시대로 진입
3. 기상이변이란 지구생존을 위한 몸부림
4. 기상이변이 발생하는 원인
5. 지구환경 해결방안 마련
6. 다보스 포럼의 글로벌 위기 보고서
7. 세계 경제가 불확실성에 빠져드는 8가지 이유
제2절. 극한 기상이변
1. 일상화되는 호주의 극한 기상이변
2. 대형 산불 발생
3. 우리나라에서의 대형 산불
4. 극심한 가뭄과 산불
5. 대형 산불에 대한 대책
6. 황사 바람과 모래폭풍
7. 해양폭염, 해양오염 등으로 위기를 겪는 해양생태계
제3절. 갈수록 심화되는 기상재앙
1. 많은 사상자를 내는 지진
2. 더욱 강해지는 태풍
3. 게릴라성 집중호우가 쏟아지는 한반도
4. 북극권과 남극권의 지구온난화
5. 적도 지역의 지구온난화
6. 태평양 저지대 섬들의 지구온난화
제4절. 기상이변에 따른 생활환경의 변화
1. 아프리카 주민들의 참혹한 기상재난
2. 농수산물을 변화시키는 기후변화
3. 해수면 상승에 따른 빛과 그림자
4. 우려되는 취약계층의 삶과 기후난민
5. 중국발 환경위기 우려
6. 푸른 북극에서의 새로운 경제권 부상
7. 기대되는 21세기 신 농업혁명
생각해 봅시다 그리스 신화에서의 프로메테우스 전설
제2장 지구온난화
제1절. 지나친 화석연료의 사용
1. 환경 파괴의 주범인 화석연료
2. 에너지 노예, 에너지 중독에 걸린 인간
3. 화석연료 사용은 인간의 원죄
4. 지구온난화로 인한 불편한 진실
6. 지구 위기의 시계
7. 어스 아워(Earth Hour)에 올리는 기도문
제2절. 온실가스 배출
1.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2. 온실가스란?
3. 온실가스의 종류
4. 우리나라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5. 태양에너지가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
6. 온난화를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이유
7. 탄소는 지구 구성의 원소
8. 21세기 탄소 시대 개막
제3절.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대책
1. COP 28에서 탄소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대책 마련
2. 물 에너지 식량 넥서스(NEXUS) 논의
3. 물부족국가인 한국의 수자원 관리 대책
4. 아프리카 뿔의 심각한 식량 위기
5. 과학 기술의 맹목적인 신뢰가 만든 사건들
6. 지구환경을 진단하는 환경과학원
7. 심각한 지구의 건강 상태
생각해 봅시다 과학 기술의 맹신에 대한 위험성
제3장 기후 위기를 극복하는 기후변화협약
제1절. 세계 각국이 참여하는 기후변화협약
1. 기후변화 협정의 출발
2. 스톡홀름의 인간환경선언
3. 브라질 리우 선언으로 출범한 기후변화 협약
4. 유엔 기후변화협약 채택
5. 온실가스 감축 기반을 마련한 교토의정서
6. ‘포스트 2012’ 체제 논의
7. 새로운 기후변화 체제 출발
8. 유엔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실행 방안 마련
제2절. 기후변화협약을 이끈 IPCC 보고서
1.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설립
2. 기후변화와 인류의 건강 관계를 밝힌 3차 보고서
3. 변곡점(Tipping Point)을 해결하기 위한 탄소 예산제도 도입
4.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를 우려하는 기후변화 보고서
5. ‘지구온난화 1.5°C’ 특별보고서
6. 기후변화에 따른 대책 마련
제3절. 기후변화협약의 당면과제
1. 기후정의에 관련된 치킨 게임
2. EU 방식이냐? 미국식 방식이냐?
3. 코로나의 역설에 대한 논의
4. 국제 메탄 서약을 제안한 글래스고 당사국 총회(COP26)
5. 우리나라의 메탄 감축 방안
6. 오존층을 파괴하는 프레온가스에 대한 규제
7.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10가지 방법
제4절. 기후변화에 따른 적응전략
1. EU 국가의 기후변화 적응전략
2. 우리나라의 기후 위기 적응 강화 대책
3. 세상을 바꿔 나가는 기후소송
4. 환경정책을 결정하는 환경지도
5. 해양환경을 중요시하는 블루 이코노미
6. 2025년 배양육 시장이 개막되면
생각해 봅시다 아폴로 13호의 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