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본편]
부모님 뜻에 반하더라도 준비해야 하는 상속증여 10대 전략
솔루션 1.
상속증여플랜을 맡기기 전에 상속세 및 증여세법 포인트부터 숙지하자.
1-1. 상속세와 증여세 세율은 같다.
1-2. 상속세와 증여세는 공제 규모에 큰 차이가 있다.
1-3. 상속세와 증여세는 계산하는 방식(유산 과세형 vs 유산 취득형)도 다르다.
1-4. 우리 집도 상속세가 나올 수 있다.
1-5. 본인이 직접 시골 땅 증여세를 신고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솔루션 2.
상속증여에 대해 부모님께 말 꺼내기 힘들더라도 플랜은 미리 준비하자.
2-1. 상속과 증여 중 어떤 방법이 더 유리할까?
2-2. 상속·증여와 양도, 부담부증여 어떤 게 유리할까?
2-3. 주택을 증여받거나 상속받을 때 관련 세금은 어떻게 될까?
2-4. 부동산 상속 증여할 때 감정평가를 꼭 해야 하나?
2-5. 자녀 명의의 주식을 관리하고 있다면 언제 증여하는 게 좋을까?
2-6. 조부모와 부모에게 각각 받는 증여재산은 어떻게 신고해야 할까?
2-7. 사위와 며느리에게 증여하는 것이 과연 절세방안일까?
솔루션 3.
증여 대상이 무엇인지 분명히 알고 증여세 신고를 하자.
3-1. 부모에게 받은 축의금과 생활비, 손주들 학비 증여세 문제가 없을까?
3-2. 가족 간의 돈 거래, 갚을 건데 어디까지 대여이고 증여일까?
3-3. 결혼할 자녀의 주택 마련, 어디까지 증여세를 안 내도 될까?
3-4. 부모님 소유 아파트에서 전세보증금을 안 내고 산다면 세무 문제가 있나요?
3-5. 증여받은 재산을 반환할 경우 다시 증여세가 나올까?
3-6. 부모의 부동산을 담보로 사업자금 대출받는 경우에도 증여세가 나올까?
3-7. 증여받고 10년 동안 팔면 안된다는 말이 무슨 뜻일까?
3-8. 가족끼리 싸게 사고 팔면 양도세와 증여세를 줄일 수 있을까?
솔루션 4.
상속세 신고는 6개월짜리 장기 레이스임을 알고 신고하자.
4-1. 상속세 신고와 납부는 언제 어떻게 하는 걸까?
4-2. 배우자공제를 활용하면 상속세 절세에 큰 도움이 될까?
4-3. 유언이 상속세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
4-4. 돌아가시기 전에 부모님 재산을 처분하면 상속세가 줄어들까?
4-5. 국세청이 상속세나 증여세를 부과할 수 있는 기간이 10년이라는데,
정말 안 내는 걸까?
4-6. 유류분 반환청구, 상속받지 못한 상속인의 마지막 수단이 될 수 있을까?
4-7. 상속 재산을 포기하면 상속세를 안 내도 될까?
솔루션 5.
상속세 납부를 위해 미리 준비해야 하는 포인트가 있을까?
5-1. 종신보험을 상속세 재원 마련을 위해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5-2. 세금을 주식이나 부동산으로 대신 내도 될까?
5-3. 당장 증여세나 상속세를 낼 수 없을 때 나눠서 낼 수 있을까?
5-4. 등기가 안된 상속받은 부동산을 매매할 수 있을까?
5-5. 혼인신고와 이혼은 상속세에 영향을 줄까?
5-6. 상속인인 자녀 대신 손자에게 상속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5-7. 10년 이내 재상속되는 재산의 경우 상속세는 얼마나 나올까?
[응용편]
부모님 뜻에 반하더라도 준비해야 하는 상속증여 10대 전략
솔루션 6.
가족법인을 활용하면 상속증여 절세에 효과가 있을까?
6-1. 가족법인을 설립하면 상속증여에 유리할까?
참고. 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 의제
6-2. 개인 소유 임대부동산을 임대법인으로 전환하면 상속증여에 유리할까?
참고. 성실신고확인대상 소규모법인
6-3. 가족 주주 중 부부 대신 자녀에게만 배당해도 될까?
솔루션 7.
가업승계, 가업상속공제만 믿고 있을 수 없다.
[가업승계 상속증여 지원 제도 개요]
7-1. 최대 600억 가업상속공제가 잘 활용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7-2. 가업승계 증여세 과세특례가 절세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
7-3. 부모님으로부터 창업자금을 현금으로 받으면 증여세를 안 내도 될까?
7-4. 비상장 주식의 가치 평가와 가업 승계전략
7-5. 명의신탁주식이 있을 때 상속증여 절세 방법이 있을까?
7-6. 일감몰아주기와 가업 승계전략
솔루션 8.
미술품, 가상화폐, 신종 투자자산 및 신탁제도 등을 활용한 절세 신기술
8-1. 미술작품, 절세에 유리할까?
8-2. 코인을 이용하면 절세에 유리할까?
8-3. 수익자 연속신탁을 이용한 절세, 과연 유리할까?
8-4. 장애인 신탁과 유언대용신탁의 장점은 무엇일까?
솔루션 9.
해외로 나간다고 상속·증여세가 무조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9-1. 해외 거주자인 자식에게 부동산을 증여할 때 증여세를 내야 할까?
9-2. 이민 가면 한국에서 상속세가 줄어들까?
솔루션 10.
상속·증여 신고는 반드시 세무조사를 하니 미리 대비하자.
10-1. 상속세 세무조사는 무조건 나오는 걸까?
10-2. 부동산을 구입하면 자금출처 세무조사가 무조건 나올까?
10-3. 추정상속재산 세무조사는 왜 힘들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