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ESG 경영의 기초개념과 ESG경영 추진현황
제1장 ESG의 개념과 ESG 경영 패러다임 3
1. ESG란 무엇인가? 3
2. ESG 경영의 개념과 필요성 8
3. ESG 경영의 패러다임과 ESG 경영 트렌드의 변화 15
제2장 ESG 경영의 배경과 프레임워크 20
1. ESG 경영의 등장 배경 21
2. 글로벌 ESG 경영 프레임워크와 가이드라인 24
3. 글로벌 ESG 규제동향 57
제3장 국내외 ESG 경영 추진 및 확산 동향 61
1. ESG 경영의 국내외 추진 및 확산 동향 61
2. 한국의 ESG 경영 추진 동향 68
3. 국내기업 ESG 경영의 중요성 75
4. 국내 대기업과 공공기관들의 ESG 경영 추진 실태 77
제2부 ESG 평가와 ESG 경영 대응전략
제4장 ESG 보고기준과 평가인증 85
1. 글로벌 ESG 활동보고 기준 85
2. K-ESG 활동보고 기준 88
3. ESG 보고 동향 91
4. K-ESG 가이드라인 진단항목 및 활용프로세스 95
5. K-ESG 평가 인증프로세스와 점수체계 100
6. K-ESG 진단지표 개발 102
제5장 ESG 경영전략 수립과 경쟁력 강화방안 106
1. ESG 경영전략의 수립 106
2. ESG 영역별 아젠다 도출과 실행방안 111
3. ESG를 통한 경쟁력 강화 방안 118
제6장 환경(E) 관리 전략과 실행 121
1. 환경관리의 중요성과 진단항목 121
2. 환경관리 진단항목의 개념과 관리전략 123
3. 환경 경영 시스템 구축 방안 131
4. ESG 실무자의 환경적 책임과 역할 134
제7장 사회(S) 책임 관리 전략과 실행 136
1. 사회적 책임관리의 중요성과 평가지표 136
2. 사회적 책임관리 진단항목과 실현방법 138
3. 사회적 책임의 목표설정과 관리전략 144
4. 사회적 책임을 위한 ESG 실무자의 역할 150
제8장 지배구조(G) 강화 전략과 실행 152
1. 지배구조관리의 중요성과 평가지표 152
2. 지배구조의 평가항목과 실현방안 154
3, 효과적인 지배구조 구축 방법 161
4. 거버넌스(Governance) 측면에서 ESG 실무자의 역할 168
제3부 ESG 성과평가와 ESG 보고서 작성
제9장 ESG 성과평가와 공시 173
1. ESG 성과평가의 개념과 목적 173
2. ESG 평가의 보고동향 174
3. ESG 성과 측정을 위한 주요 지표(KPI) 지표설정 방법 175
4. ESG 성과 측정 및 평가 방법 180
5. ESG 공시기준 초안 182
제10장 ESG 보고서 작성 187
1. ESG 보고서의 정의와 역할 187
2.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작성 방법 190
3. ESG 보고서의 작성 기준 195
4. ESG 보고서의 구성요소 207
5. ESG 보고서 작성에 고려 사항 208
6. ESG 보고서 작성 체크리스트 209
7. ESG보고서 작성 사례 214
제11장 ESG 경영의 법적 규제와 조직운영 방안 218
1. ESG 경영의 주요 이슈 218
2. ESG 경영의 요구수준과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 220
3. ESG 경영의 법적 규제와 준수방안 224
4. ESG 법적 리스크 관리 227
5. ESG 경영에서 준법 경영 체계 구축 230
6. ESG 경영 활성화를 위한 조직운영방안 231
제4부 ESG 경영컨설팅과 ESG 경영 실무
제12장 ESG 경영컨설팅과 조직문화 구축방안 239
1. ESG 수준진단과 ESG 경영컨설팅 239
2. ESG 가치를 반영한 조직 문화 구축 방법 248
제13장 ESG 고도화 전략 252
1. ESG 고도화전략 수립을 위한 환경분석 252
2. ESG 경영 전략수립 258
3. ESG 고도화 전략 264
제14장 사례 연구와 베스트 프랙티스 271
1. ESG 실무자의 핵심 역할과 책임 271
2. ESG 경영의 해외 성공사례 연구 272
3. ESG 경영의 실패사례와 교훈 276
참고 문헌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