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글
머리말
들어가며
1장╻세속화 이론으로만 이야기할 수 없는 현재의 상황
1. 탈종교 담론
2. 세속화 논쟁
1) 세속화 이론과 탈세속화 이론
2) 세속화 이론의 여러 모델
3) 한국 사회에서의 세속화 이론
2장╻한국의 ‘가나안 성도’
1. ‘가나안 성도’ 출현에 대한 역사적 해석
2. 개신교 외 다른 종교에서의 ‘가나안 성도’ 현상
3. ‘가나안 성도’의 본질에 관한 연구들
3장╻종교와 정체성
1. 종교와 종교적인 것
1) 종교와 종교성
2) 종교적인 것
2. 정체성과 종교 정체성
3. 정체성을 구성하는 이데올로기
4. 개인의 실천 속 간파와 제약
4장╻‘청년 가나안 성도’들의 종교 정체성
1. 종교 정체성과 윤리성
2. ‘청년 가나안 성도’의 기독교 교리 전유
1) 구원관
2) 신관
3) 성서관
4) D.I.Y. 종교성을 관통하는 축, 윤리
5) ‘가나안 성도’의 기독교 개념 전유
3. ‘가나안 성도’의 시민 윤리적 정체성과 지배 이데올로기 간파
1)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이데올로기
2) 남성 중심 이데올로기
3) 정치적 보수주의
5장╻‘청년 가나안 성도’들의 종교 문화적 실천
1. 종교적 의례에서 사회적 의례로
2. 기존 개신교와의 구별 짓기
3.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종교 문화적 실천
1) 강압이 아닌 선택으로의 자기 계발과 성실성
2) 사회적 젠더 감수성과 가정 내 가부장주의
3) 진보적인 정치적 이상과 추상화된 사회적 약자
4) 공공성을 가리키는 ‘청년 가나안 성도’ 현상
글을 맺으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