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1부 ╻ 한국 문화 속의 K-신학
박성권 ㆍ 한국의 민중신학과 몰트만의 정치신학의 상관관계 연구
심광섭 ㆍ “‘하느님의 춤’ 卽 ‘인간의 춤’” - 현영학의 탈춤 미학을 토대로
김바로본 ㆍ 소셜 미디어를 통한 신학 공유 방법론 -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신학 공유 가능성 연구
참고문헌(1부)
2부 ╻ K-신학 방향의 정립
장왕식 ㆍ K-신학의 불가능성을 넘어서 - 방법론적 소고
이찬석 ㆍ 한국신학의 유형화에 관한 고찰 - ‘K-신학의 방법론’을 지향하며
백충현 ㆍ 삼위일체에 관한 한국신학적 이해들과 공헌 가능성
참고문헌(2부)
3부 ╻ 한국 사상과 K-신학
김광묵 ㆍ 퇴계의 하늘(天)에 대한 신학적 접근
안규식 ㆍ 그리움과 에로스의 수행 - 미학적 한국신학- 다석 류영모와 플로티노스의 신비적 합일을 중심으로
신용식 ㆍ 토착화신학의 상호문화적 전개 가능성 모색
참고문헌(3부)
4부 ╻ 한국 사회 정치 현실과 K-신학
최태관 ㆍ 민족의 해체 시대에 남북 분단의 고착화의 극복과 통일을 이루는 한국신학으로서 통일 신학의 길 모색
강응섭 ㆍ 라캉의 ‘3말’(三語)로 안병무의 “그리스도교와 민중언어 1” 읽기- 민중언어의 기원과 전개 과정에 관한 시론
이상은 ㆍ K-신학의 성령론- 한국적 성령론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참고문헌(4부)
지은이 알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