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이미지 역사가 아비 바르부르크의 광기와 지성의 연대기『아비 바르부르크 평전』. 이 책은 대적인 시각문화 연구 및 이미지론 분야의 토대를 구축한 연구자로 평가받는 독일의 미술사가 아비 바르부르크Aby Warburg, 1866~1929의 광적인 내면으로 향하는 강렬한 여정을 담은 책이다. 그는 정신분열이라는 망상과 착락 속에서도 유럽 지성의 역사를 그려 나간 바르부르크의 광기와 지성의 연대기를 중심으로 대서사를 풀어간다.
광기와 지성의 이미지 역사가 아비 바르부르크
그의 사상과 생애 그리고 불가사의한 이미지 세계
이 책 《아비 바르부르크 평전》은 현대적인 시각문화 연구 및 이미지론 분야의 토대를 구축한 연구자로 평가받는 독일의 미술사가 아비 바르부르크Aby Warburg, 1866~1929의 광적인 내면으로 향하는 강렬한 여정이다. 저자 다나카 준田中純은 사상사와 표상문화론 연구로 동시대 일본의 인문지성을 대표하는 학자이다.(이 책으로 2002년 산토리 학예상을 받았다.) 그는 정신분열이라는 망상과 착락 속에서도 유럽 지성의 역사를 그려 나간 바르부르크의 광기와 지성의 연대기를 중심으로 대서사를 풀어간다.
미술사가, 문화사가, 문헌학자이자 도상해석학iconology의 창시자인 바르부르크는 1866년 함부르크의 부유한 유대인 은행 가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열세 살 때 장자상속권을 한 살 아래 동생에게 양도하면서 그 대가로 평생 자신이 구입하는 책값을 원조해 줄 것을 약속받은 일화가 유명하다. 그는 본, 뮌헨, 스트라스부르의 대학에서 문화심리학, 고고학과 미술사, 의학, 심리학, 종교사를 배운 후 대학에 소속되지 않고 많은 사재를 털어 이탈리아 초기 르네상스 미술에 관계된 전 분야(문학, 철학, 민속학 등)의 문헌 약 6만 권을 자택에 수집했다.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가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끼친 영향에 주목하여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 《봄》을 기초로, 소위 ‘도상학적 분석’이라는 이미지 연구의 방법론상 개념을 제언한 것으로 유명하다. 점성술 도상 연구, 신화학의 이미지 연구, 미국 원주민 문화 연구 등으로 자신만의 방법론을 구축하고, 이는 프리츠 작슬, 파노프스키, 곰브리치 등이 시도한 르네상스 연구의 결실로 이어진다. 1926년 자신의 방대한 분량의 장서를 바탕으로 바르부르크 문화학 도서관을 개관하고 유럽 지적 네트워크의 중심이 된다. 말년에는 도상 아틀라스 ‘므네모시네Mnemosyne’ 프로젝트 연구에 매진하여 유럽 이미지 역사의 심층에 도달하려 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바르부르크를 본격적으로 다시 해석하려는 움직임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 책도 그 일환이다. 《아비 바르부르크 평전》은 바르부르크를 한국에 처음 소개하는 데 있어서 손색없는 최상의 바르부르크 입문서이다.
현대 미술사학과 문화사 연구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아비 바르부르크
그의 종합적인 ‘면모’를 가감 없이 그려내다
바르부르크가 제언한 ‘神은 세부에 깃든다’라는 탁월한 모토라든가 ‘도상학적 분석’이라는 이미지 연구의 방법론상 개념은 후대 연구자들에 의해 여전히 되풀이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르부르크가 실제로 남긴 문장과 생애를 연구한 사례는 많지 않다. 다나카 준이 2001년 이 책을 쓰기 전 세상에는 바르부르크에 관한 전기가 한 편 있었다. 곰브리치의 《아비 바르부르크 전기-어느 지적 생애Aby Warburg: an Intellectual Biography》(1970)가 그것이다.(다나카 준의 책이 나온 지 1년 후인 2002년 프랑스 미술사가 조르주 디디 위베르망의 《잔존하는 이미지-아비 바르부르크의 미술사와 유령들의 시간들》이 출간되었다.) 곰브리치의 바르부르크 전기는 바르부르크 연구소가 소장한 제1차 자료를 바탕으로 풍성한 정보를 담고 있다. 그러나 1918년부터 1924년까지 바르부르크가 정신병으로 겪은 사고 분열과 착란을 다루지 않은 상태에서 바르부르크의 지적 생애를 그린다. 다나카 준의 바르부르크 연구는 곰브리치가 간과한 부분에 바르부르크의 진면목을 이해하는 비밀이 숨어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정신병에 걸린 시기의 망상과 바르부르크의 학문적 견해에 어떤 연속성이 있는 것일까.
다나카 준은 곰브리치의 연구에 접목하는 동시에 탈구축을 시도한다. 그것은 바로 1918년부터 1924년까지, 즉 바르부르크가 정신병을 앓은 시기를 중심으로 하여 그의 사색에 내포되어 있는 분열이나 착란과 정면으로 맞서는 것을 피하지 않는 것이다. 바르부르크의 불가피한 광기 그리고 그 속에 내재한 지知가 니체, 프로이트, 벤야민, 클로소프스키에 이르는 사상적 별자리 사이에 놓여야 한다는 것이 이 책의 방향성이다. 그렇기에 다나카 준은 지금까지 논의되어 온 바르부르크의 이미지를 일시적으로 해체하고, 또 하나의 새로운 이야기를 재편집하고 전달한다.
현대 미술사학과 문화사 연구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아비 바르부르크. 그가 마주한 광기 그리고 그것과 끊임없이 긴장관계를 유지하며 빛을 발하는 지知의 힘. 이 책은 영혼의 방랑 속에서 유럽 문화사의 한 축을 그려 나간 아비 바르부르크의 고통과 지성을 중첩시킨 섬세한 관찰이다.
아비 바르부르크의 사상과 생애에 가 닿는 세 가지 핵심어,
‘양극성’ ‘정념’ ‘기억’
다나카 준은 청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