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장 _ 이동과 정주의 권리가 없는 그들 이야기
1장 _ 한국 근대 이전 감염병과 한센병
미키 사카에의 ‘조선전염병사’
한국 감염병의 역사적 흐름: 일본과의 관계 측면에서
한센병에 대한 역사적 기록
2장 _ 한센병을 둘러싼 식민지의학의 대중관리 전략
일본의 한센병 인식과 정책
미디어가 발신한 ‘공포 선전’과 ‘행복한 이상향’
식민의학의 꽃, 소록도갱생원으로의 초대
3장 _ 감정통치 기반의 문화자원으로서 한센사업
식민지의학과 한국인의 ‘감정’ 발견
사회적 낙인과 대중의 움직임
한국인의 참여에 대한 일제의 포장
문화자원으로서 소록도갱생원
4장 _ 한센정책의 방법으로서 기독교
기독교를 통한 한센인 관리
기독교인 미쓰이 테루이치와 소록도
일본엠티엘과 ‘스오 왕국’
5장 _ 한센정책의 주체와 객체로서 한센인
신문 기사로 본 한센인에 대한 관심과 처지
한센인에 대한 관심과 ‘방면위원’
한국어 신문 기사를 통해 본 한센인의 요구
6장 _ 한센인의 ‘소리’와 함께한 비환자 대표
한센인 ‘소리’의 역사와 미디어
환자들의 요구와 최흥종의 활동
해방 후 한센인과 유준
7장 _ 일본 한센병요양소와 재일조선 한센인의 삶
요양소라는 공간의 한센인, 이들의 생존 투쟁
재일조선 한센인의 삶
우애회를 통해 본 재일조선 한센인
종장 _ 진정한 문화자원으로
글이 처음 실린 곳
그림 출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