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1부. 해협
믈라카 해협 - 세계 무역을 둘러싼 줄다리기
인도양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가장 빠른 길
국제 해협이라는 카드
중국의 ‘믈라카 딜레마’
크라 운하가 가져올 미래
*선을 넘은 이야기 _동서 교역의 역사를 간직한 도시 믈라카
베링 해협 - 빙하가 열어 준 길
호모 사피엔스, 선을 넘다
미국과 러시아, 선을 긋다
*선을 넘은 이야기 _역적에서 영웅이 된 수어드
다시 선을 잇다: 런던부터 뉴욕까지
북극 항로의 주요 경로
호르무즈 해협 - 축복과 분쟁의 씨앗이 흐르는 곳
대한민국 유조선, 나포되다
호르무즈 해협의 정치적 갈등
문제는 석유 가격이 아니다
왜 이곳은 지나가기 어려울까?
*선을 넘은 이야기 _영해와 무해통항권
새로운 선택, 홍해
지브롤터 해협 - 세상의 끝을 사수하라
헤라클레스의 기둥, 대항해 시대를 열다
유럽 진출의 전진 기지
*선을 넘은 이야기 _지중해는 사막이었다
브렉시트 이후: 영국과 에스파냐 사이에서
지브롤터 해협의 경제적 가치
2부. 운하와 터널
수에즈 운하 - 고갈되지 않는 자원
배 한 척이 전 세계 물류의 흐름을 막다
바다와 바다의 연결 고리
이집트의 품으로 돌아오기까지
*선을 넘은 이야기 _500년간의 도전, 굴포 운하와 안면 운하
수에즈 운하는 스마트폰
파나마 운하 - 태평양과 대서양을 오가는 자유
운하 때문에 만들어진 나라가 있다?
끈질긴 야심은 막을 내리고
*선을 넘은 이야기 _파나마 vs 니카라과
파나마 경제의 중심이 되다
기후 변화가 일으킨 위기들
세이칸 터널 - 일본의 자부심, 대륙 진출의 꿈
참담한 침몰이 남긴 과제
균형 발전의 땅, 홋카이도를 향해
*선을 넘은 이야기 _아이누족의 수난
문화와 경제 그리고 마음의 경계를 허물다
러시아에서 유럽까지, 부산에서 인도까지?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 - 지구를 생각하는 선 긋기
한니발과 나폴레옹의 공통점
동서로 뻗은 벽, 알프스산맥
장벽을 뚫다: 북해와 지중해 잇기
*선을 넘은 이야기 _공간적 상호 작용 발생의 세 가지 원칙
효율보다 안전, 돈보다 환경
3부. 산맥
히말라야산맥 - 남아시아 패권 전쟁
인도와 중국을 가른 세계의 지붕
자연 국경도 지키지 못한 평화
14억 중국과 14억 인도 사이, 80만 부탄
네팔, 히말라야 너머를 보다
*선을 넘은 이야기 _인도와 파키스탄의 자존심을 건 발차기
우랄산맥 - 유라시아를 흔드는 러시아의 힘
러시아가 세계 영토 크기 1위인 이유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
자원과 사람을 이어 주는 열차의 탄생
우크라이나 전쟁이 의미하는 것
*선을 넘은 이야기 _시베리아 횡단 철도 여행
그레이트디바이딩산맥 - 자원 강국 오스트레일리아의 미래
기후를 나누는 거대한 선
호주 청정우는 어디에서 왔을까?
금을 찾아 산을 넘어 서쪽으로
광물 무역의 열쇠: 경제는 아시아, 역사는 유럽
*선을 넘은 이야기 _첫 번째 오스트레일리아인, 애버리지니
피레네산맥 - 유럽 연합 철도 사업 핵심 네트워크
프랑스-에스파냐 전쟁에 마침표를 찍다
카탈루냐와 바스크 독립 시위의 기원
드디어 이룬 염원, 유럽 본토 육상 교통
*선을 넘은 이야기 _피레네산맥 위에 있는 나라, 안도라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