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편찬사
편역자 서문
I 유언비어 관련 신문 기사
〈해제〉
〈자료 1〉 사설 및 논설
〈자료 2〉 검거에서 재판까지
〈자료 3〉 당국의 단속과 대책
〈자료 4〉 각종 사회현상
Ⅱ 일제 당국의 유언비어 조사
〈해제〉
〈자료 5〉 조언비어(造言飛語)의 죄에 관한 조사(1938.3)
〈자료 6〉 조언비어죄(造言飛語罪)에 관한 조사(1939.12)
〈자료 7〉 한해에 대한 유언비어 상황(1940.9)
〈자료 8〉 시국 관계 불온언론사범(不穩言論事犯)(1944.3)
〈자료 9〉 징병검사장에서 반도인(半島人) 장정(壯丁)의 조언비어(전주 검사정 보고)(1944.8)
〈자료 10〉 적측(敵側) 모략 방송 도청(盜聽)에 기초한조언비어(함흥 검사정 보고)(1944.8)
〈자료 11〉 기타큐슈지구 공습에 관한 조언비어[후쿠오카(福岡) 검사정 통보](1944.8)
〈자료 12〉 「적기(敵機) 내습(來襲)에 따른 민정(民情) 일편(一片)」 중 유언비어 부분(1944.9)
Ⅲ 일제 당국의 ‘불온 낙서’ 등 기타 조사
〈해제〉
〈자료 13〉 낙서와 삐라에 관한 조사(1938.7)
〈자료 14〉 지나사변에 종군한 조선인(鮮人)의 불온 언동과 통신 등에 관한 조사(1938.9)
〈자료 15〉 불온 낙서 및 삐라에 관한 조사(1940.9)
〈자료 16〉 「1940년(昭和 15) 전반기 조선 사상운동 개황」 중 관련 조사(1940.8)
Ⅳ 불안한 민심과 여론 동향
〈해제〉
〈자료 17〉 지나사변(支那事變)에 따른 치안 상황(1938)
〈자료 18〉 현재 시국하에서 일반 범죄 상황(1938.7)
〈자료 19〉 지나사변 후 기독교도의 동정(動靜)과 그 범죄에 관한 조사(1938.9)
〈자료 20〉 한해(旱害)에 따른 민심의 상황과 대책(1939.8)
〈자료 21〉 시국에 대한 외국인의 언동(1939.9)
〈자료 22〉 지방의회에서 의원의 요주의(要注意) 내지 특수언동(特殊言動) 조사(1940.3~4)
〈자료 23〉 구주(歐洲) 전국(戰局)에 대한 민심의 동향(1940.7)
〈자료 24〉 하계휴가(夏季休暇) 귀성(歸省) 학생의 언동(1940.8)
〈자료 25〉 임시육군특별지원병(臨時陸軍特別支援兵)의 동향 일반(1944.3)
〈자료 26〉 국민징용령(國民徵用令) 위반 사건(1944.3)
〈자료 27〉 「반도 동포에게 고함」이라는 제목의 격문 우송(경성 검사정 보고)(1944.5)
〈자료 28〉 「적기(敵機) 내습(來襲)에 따른 민정(民情) 일편(一片)」 중‘ 민심의 동향(1944.9)
〈자료 29〉 전국(戰局)과 민심의 취약면(脆弱面)(1944.10)
〈자료 30〉 특수사건(1937~1942)
V 유언비어 관련 기타 참고자료
〈해제〉
〈자료 31〉 사법경찰관(司法警察官) 교양자료-조언비어죄(造言飛語罪)에 대하여(연도 불명)
〈자료 32〉 정감록(1940.6)
〈자료 33〉 『전시하 집회와 단체 등에 대하여: 「조선임시보안령」 속성이해』 중 유언비어 해설(1942)
〈자료 34〉 「육 ㆍ해군형법」ㆍ「조선임시보안령」 위반 사건(1945.3)
자료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