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정의를 위한 정치적 책임
1장 아동인권의 개념
아동인권, 아동의 권리
아동인권의 등장과 발전 과정
아동권리협약의 의미와 중요성
아동권리협약의 일반원칙
아동권리접근법의 이해
2장 한국의 아동정책과 아동인권
아동정책의 변천과 현황
판례에 나타난 아동인권의 관점
아동정책영향평가
3장 아동인권 옹호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도전
9개의 이야기
아동인권의 인식
서울 강동구청: 따뜻한 밥 한 끼는 동네의 안전을 지킨다
경기 시흥시청: 출생의 확인은 지자체의 책무를 확장한다
진주 반성초등학교: 아동인권은 공존과 평화의 기초가 된다
아동인권의 확산
부산광역시: 정책 총괄 역할은 지방정부의 책무성에 기여한다
충청남도청: 아이가 태어날 세상은 아이가 살기 좋은 세상이어야 하지 않을까
경북교육청: 통합교육은 서로의 다름을 존중하는 연습이다
아동인권의 내재화
전북 완주군청: 아동을 위한 전담기구는 변화의 시작이다
서울 성북구청: 아동은 정책 수립과 추진에 최고의 파트너이다
광주 서구청: 아동인권은 모든 것들과 연결된다
맺는말 아동인권을 통해 세상 바라보기
부록 대한민국 제5~6차 국가보고서에 대한 최종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