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증여, 특히 선물에 보답할 의무에 대하여
제사(題詞)
연구계획
적용된 방법
급부: 증여와 포틀래치
제1장 교환된 선물과 갚을 의무(폴리네시아)
1. 총체적 급부: 모계적 재화와 남성적 재화(사모아 제도)
2. 주어진 사물의 영(마오리족)
3. 그 밖의 주제: 줄 의무와 받을 의무
4. 비고: 인간에게 주는 선물과 신에게 바치는 선물
제2장 체계의 확산: 후한 베풂, 명예, 화폐
1. 관대함의 규칙(안다만 제도)
2. 선물교환의 원리, 이유, 강도(멜라네시아)
그 밖의 멜라네시아 사회
3. 북서아메리카
명예와 신용
세 가지 의무: 주기, 받기, 갚기
사물의 힘
“명성 화폐”
첫 번째 결론
제3장 고대의 법과 경제에 남아 있는 교환-증여의 원리
1. 사람에 관한 법과 물건에 관한 법(아주 오래전의 로마법)
주해
그 밖의 인도유럽법
2. 고전 힌두법: 증여의 이론
3. 게르만법(담보와 증여)
켈트법
중국법
제4장 결론
1. 도덕적 결론
2. 경제사회학적·정치경제학적 결론
3. 일반사회학적·도덕적 결론
부록
1. 트라키아인의 태곳적 계약 형태
2. 선물, 독
주석
『증여론』 출간 기념 대담
옮긴이의 말
마르셀 모스 연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