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문 1
제2장 택견사 개론 17
제1절 수박手搏과 수박희手搏戱를 통해 본 택견의 관계 19
1. 들어가기 21
2. 수박, 수박희의 민중화 25
3. 수박과 수박희의 차이 38
1) 『고려사』 - 수박희手搏戱 38
2) 『고려사』 - 수박手搏 40
4. 수박, 수박희와 택견과의 관계 46
5. 맺음말 51
제2절 전통무예 ‘탁견’ 용어에 관한 연구 53
1. 들어가기 55
2. 문헌(1778~1964)에 나타난 ‘탁견 용어’의 담론 58
1) 탁견은 일반명사인가? 혹은 고유명사인가? 58
2) 탁견과 태껸 그리고 택견의 용어에 대한 소론 71
3) 탁견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해석의 의미에 대한 소론 77
4) 탁견의 한문표기와 의미에 대한 소론 82
5) 택견의 ‘이칭異稱’에 대한 소론 84
3. 맺음말 89
제3절 한국 전통무예의 다면성 93
1. 들어가기 95
2. 유희로서 무예와 아동대 99
1) 아이의 유희로서 무예와 국난國難시 군사 하위조직인 아동대 99
2) 수박과 택견 그리고 돈내기 110
3. 맺음말 114
제4절 택견의 수련계층에 관한 연구 117
1. 들어가기 119
2. 택견 수련자에 관한 담론 125
1) 석전石戰과 택견 129
2) 몰락한 양반 133
3) 군인과 택견 135
4) 왈자와 택견 138
3. 맺음말 144
제5절 서울의 무형유산 결련結連태껸과 석전石戰의 상관성 연구 149
1. 들어가기 151
2. 서울의 무형유산 결련태껸과 석전石戰의 상관성 155
1) 서울 결련태껸과 석전의 공시성 155
2) 서울의 결련태껸과 석전石戰에 참가한 신분과 인물 158
3) 서울의 결련結連태껸과 석전石戰의 편싸움방식 167
3. 맺음말 178
제6절 조선 말기 외국인의 기록을 통해 본 택견 183
1. 들어가기 185
2. 택견과 관련된 기록 188
3. 격투기와 관련된 기록 198
4. 맺음말 211
제7절 국외 항일 독립운동과 택견과의 관계 215
1. 들어가기 217
2. 국외의 항일 독립운동과 택견 220
1) 하와이와 멕시코의 광무군과 택견의 관계 220
2) 신흥무관학교 교과목의 유술柔術과 택견과의 관계 229
3. 맺음말 236
제8절 택견의 일제강점기 전후의 변천과 독립유공자에 관한 연구 241
1. 들어가며 243
2. 항일 독립운동과 택견 247
1) 일제 강점기 민족문화말살정책에 의한 택견의 변천과정 247
2) 독립 운동가와 택견과 관계있는 인물 259
3) 그 외 독립운동과 관련된 택견의 인물 267
3. 맺음말 270
제9절 북한의 조선사회과학학술집에 나타난 맨손무술에 관한 연구 273
1. 들어가기 275
2. 북한의 조선사회과학학술집에 나타난 무술련마와 체력 단련놀이 278
3. 북한의 조선사화과학학술집에 나타난 맨손무예 284
1) 북한의 수박과 수박희에 관한 인식 284
2) 북한의 날파람에 관한 인식 291
3) 북한의 태권도에 관한 인식 294
4) 북한의 택견에 관한 인식 297
3. 맺음말 299
제3장 택견 기술의 비교 연구 301
제1절 택견(태껸) 단체의 품밟기 동선과 용어에 관한 연구 303
1. 들어가기 305
2. 품밟기 동선의 원리 비교 310
1) 결련택견협회 313
2) 대한택견연맹(現, 대한택견회) 314
3) 한국택견협회 316
4) 현암위대태껸보존연구회(現, 세계위대태껸연맹) 320
3. 품밟기 용어의 비교 327
4. 맺음말 330
제2절 택견(태껸) 단체의 품밟기 원리에 관한 연구 333
1. 들어가기 335
2. 품밟기 원리의 비교 338
1) 결련택견협회 340
2) 대한택견연맹(現, 대한택견회) 343
3) 한국택견협회 344
4) 현암위대태껸보존연구회(現, 세계태껸연맹) 349
3. 맺음말 357
제3절 택견의 원형복원을 위한 자세의 원리 분석 359
1. 들어가기 361
2. 택견 자세姿勢의 분석 364
1) 택견 자세의 원리 비교 364
2) 택견의 원형복원을 위한 자세 분석 369
3. 맺음말 378
제4절 택견의 원형복원을 위한 손질 분석 379
1. 들어가기 381
2. 송덕기와 신한승의 손질 비교 분석 385
1) 송덕기 택견의 손질 분석 385
2) 신한승 택견의 손질 분석 394
3. 택견 단체의 기본 수련과정의 손질 비교분석 402
1) 택견 단체의 손질 분석 402
2) 택견 단체의 원형복원을 위한 손질 방안 405
4. 맺음말 406
제5절 택견의 원형복원을 위한 손질 원리 분석 409
1. 들어가기 411
2. 택견 손질의 원리 분석 414
1) 손질의 보폭步幅과 팔의 각도의 원리 분석 414
2) 손질의 효율성을 위한 짧고 바닥을 끄는 보법 415
3. 손의 모양에 따른 손질의 용도와 원리분석 422
1) 손의 모양과 손질 422
2) 송덕기 손질의 손 모양 425
3) 신한승 손질의 손 모양 433
4. 맺음말 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