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 자산가격결정을 설명하는 단순모형 3
현재가치와 자산가격 5
차익거래이득과 자산가격버블 14
투기적 투자와 주택가격버블 17
비동질적 기대와 주택가격버블 23
버블의 소비효과와 경기순환 30
제2장 | 확률적 할인인자와 자산가격 41
조건부청구권의 가격과 확률적 할인인자 43
소비자 효용극대화와 조건부청구권가격 52
조건부청구권의 완전시장과 불완전시장 56
선도거래 60
옵션거래 65
통화정책과 조건부청구권의 가격 73
오일러 방정식과 IS곡선 78
제3장 | 포트폴리오의 선택모형과 확률적 할인인자 93
확률적 할인인자와 위험프리미엄 97
포트폴리오선택과 위험의 시장가격 101
확률적 할인인자와 위험의 시장가격 116
확률적 할인인자의 모형 118
제4장 | 이자율의 기간구조 133
실제자료의 소개 135
만기수익률의 개념 138
수익률곡선의 변동과 예측 145
이자율의 기간구조에 관한 여러 가설 148
확률적 할인인자와 채권가격 151
수익률곡선의 추정 157
이자율 기간구조의 거시금융모형 162
이자율위험 168
제5장 | 새로운 화폐자산의 가격결정과 역할 181
암호화폐 투자수익률의 결정요인 184
암호화폐의 균형가격 194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199
암호화폐와 통화정책 206
토큰과 플랫폼의 분권화 210
제6장 | 뉴스와 증권가격 221
뉴스의 의미 223
증권수요의 결정요인 225
뉴스와 투자자의 정보처리 228
뉴스와 증권수요 233
뉴스의 지속성과 증권수요 236
경제뉴스의 편향과 증권투자 239
목표주가와 실제주식가격 249
제7장 | 제한적 합리성과 증권투자 259
투자자정보의 기간간 변화 260
정보의 측정 266
정보처리능력에 대한 제약 272
상황의 연속적인 변화와 학습능력의 제약 278
투자자의 정보처리능력과 뉴스에 대한 반응 283
투자자의 인지능력과 투자행위 285
제8장 | 통화정책의 운용 297
한국의 물가안정목표제도 298
지준시장모형 304
기준금리와 콜시장 311
지불준비금의 이자지급과 지준시장모형 316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수단 318
통화안정계정모형 323
한국은행의 대차대조표 326
제9장 | 통화정책의 금리경로와 IS-LM모형 337
IS곡선과 금리경로 339
필립스곡선의 도출 344
뉴케인지언모형 348
인플레이션타기팅과 뉴케인지언모형 351
준칙과 재량 355
제10장 | 비전통적인 통화정책 371
양적완화정책 373
유동성위기와 중앙은행 대출창구 377
오퍼레이션 트위스트의 총수요효과 384
제로금리와 선제적지침 388
마이너스금리정책 396
유럽과 일본의 마이너스금리정책 401
제11장 | 은행의 역할과 은행제도의 안정성 413
은행법과 은행의 역할 415
우리나라 일반은행의 자산운용과 자금조달 419
소비자의 유동성충격과 금융부재경제 422
은행제도와 실물경제의 자원배분 428
인출서비스제약과 대규모 예금인출사태 431
예금보험제도의 효과 435
유동성괴리 현상과 유동성규제 439
제12장 | 제한적 차익거래와 증권의 유동성 449
마진대출과 마진규제의 역사적 배경 451
금융기관의 담보대출모형 455
최대예상손실액과 마진의 결정 462
헤지펀드모형 466
헤지펀드의 투자와 마진제약 473
자본시장법과 헤지펀드 479
제13장 | 차익거래이득의 형성과 지속성 491
제한적 차익거래를 고려한 대리인모형 493
전환사채시장의 사례 503
합병차익거래 509
CDS-채권 베이시스의 모형 512
레버리지 사이클 515
제14장 | 금융중개기관과 통화정책의 전달경로 525
우리나라 기업의 자금조달 528
부채계약과 이해의 불일치현상 531
정보의 비대칭성과 대출계약 534
대출계약모형 536
정보의 비대칭성과 신용위험의 증가 544
역선택과 신용할당 546
제15장 | 금융시장의 변화와 금융위기 559
자산유동화증권의 모형 561
자산유동화와 신용창조 569
신용보험의 가격결정 571
자산유동화증권의 종류와 발행과정 574
증권화된 은행업과 금융위기의 전개과정 577
RP시장의 붕괴와 금융위기의 확산 583
제16장 | 통화정책과 금융시장 595
은행의 정의와 수익성지표 597
통화정책과 은행수익성 606
통화정책의 위험부담경로 611
통화정책과 금융안정 618
제17장 | 물가안정과 금융안정 631
금융안정목표과 물가안정목표의 바람직한 운용에 대한 여러 견해 633
금융안정과 물가안정을 동시에 고려한 통화정책의 운용 637
금융안정과 재량적 통화정책 644
분권화된 정책결정모형 649
거시건전성정책의 정책수단 654
제18장 | 기업의 구조조정과 금융의 역할 667
한계기업의 증가와 잠재성장률의 하락 669
주거래은행과 국책은행 673
기술선택의 경직성과 GDP의 결정 676
기술선택의 경직성과 잠재성장률의 결정 682
은행의 금융보조금과 기술경직성의 심화 685
찾아보기 ⦁ 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