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
Ⅰ. 총설
제1장. 정도전 연구의 의의: 개혁과 문명론 / 도현철(연세대)
제2장. 정도전 『삼봉집』의 판본과 연구 자료 / 최민규(연세대)
Ⅱ. 생애와 사상 형성
제3장. 정도전의 혁명적 삶의 굴곡과 쟁점들 / 문철영(단국대
제4장. 정도전의 사상 형성과 네트워크 / 강문식(숭실대)
Ⅲ. 개혁 사상과 중국 인식
제5장. 정도전의 국가론과 정치·경제 구상 / 정재훈(경북대)
제6장. 정도전의 화이론(華夷論)과 중국 인식, 요동 정벌 연구 / 김인호(광운대)
Ⅳ. 철학과 문학
제7장. 三峯 성리학의 主理論的 특질 / 최영성(한국전통문화학교)
제8장. 정도전의 불교 인식과 승려와의 교류 / 이상민(대전대)
제9장. 정도전의 도학적 문학관 / 정재철(단국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