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강 동족의 전통생계
1. ‘전통농업’ 개념의 모호성
2. ‘전통농업’ 개념의 새로운 이해
3. ‘전통생계’와 ‘전통농업’의 차이
4. 동족 전통생계의 특징
제5장 다양한 황강 찰벼 품종
1. 동족 문화의 자연적 적응의 평가 기준
2. 내음랭ㆍ내비성 산림 찰벼 품종
3. 내한ㆍ조숙ㆍ완숙 외래 찰벼 품종
4.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고유의 찰벼 품종
제6장 황강 동족의 자연재해 대처 방법
1. 동족 전통벼 생계의 리스크 대처 능력
2. 전통생계의 자연재해 대책
3. 전통생계의 자연재해 예방책
제7장 동족의 물고기ㆍ오리ㆍ벼 공생 농업방식
1. ‘온역론’과 ‘잡초론’
2. 물고기ㆍ오리ㆍ벼 공생의 자연재해 대처 효과
3. 물고기ㆍ오리ㆍ벼 공생 방식에서 ‘거시적인 조정ㆍ제어 역할’
4. 자원의 고효율 이용 및 특별 보호 방식
제8장 황강 동족의 생태환경의 취약성에 대한 대응책
1. 경작지ㆍ못ㆍ수로망 구축
2. 유수침식의 방지
3. 생태 취약성의 보완
4. 산림 생태계 보호
제9장 황강 동족의 벼문화 적응의 이중성
1. 기존 연구사 검토
2. 새로운 문화 정의와 문화적응의 이중성
제10장 황강 동족 전통생계의 발전과 변화의 문화적 원인
1. ‘사회문화적 통합모델’과 ‘문화변동’ 이론
2. 동족 전통문화의 ‘문화접변’ 과정
제11장 황강 동족 전통도작문화의 자기 보호
1. 전통 찰벼 품종의 보호
2. 전통 찰벼 품종의 도입 메커니즘
3. 전통 찰벼 품종의 육성 메커니즘
4. 전통 찰벼 품종의 번식 메커니즘
제12장 황강 전통생계가 산림 파괴로 입는 충격
1. 산림 파괴의 역사적 과정
2. 산림 파괴의 문화적 원인
3. 전통생계가 산림 파괴로 입는 충격
제13장 황강 전통생계에 외래 기술이 미친 영향
1. 외래 영농기술이 황강 마을에 가져다 준 충격
2. 비료와 농약 보급이 황강에 가져다 준 충격
3. 황강 주민의 외부 영농 기술 도입과 응용
4. 유연한 제도적 보장이 황강 전통생계에 미친 영향
제14장 황강 전통생계의 지속가능성
1. ‘지속가능성’의 개념과 발전적 변화
2. 동족 전통생계와 지속가능한 생태
3. 동족의 전통생계와 지속적인 자원 공급
4. 동족의 전통적 농업ㆍ목축업 상품과 지속적인 시장 보장
제15장 결론 및 토론
부록
옮긴이의 글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