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들어가는 말 : 통일과 우리의 자화상 / 전명희 7
첫 번째 강의
시대적 사명으로서의 통일 / 송인호 17
Ⅰ. 시대적 사명으로서의 통일 준비 19
Ⅱ. 북한을 바라보는 관점 24
Ⅲ. 독일의 사례 33
Ⅳ. 통일의 궁극적 목적과 우리의 자세 37
Ⅴ. 제헌헌법 세대의 등장 41
Ⅵ. 한반도 가치공동체 통일 방안 45
Ⅶ. 결론 47
두 번째 강의
인권의 틀에서 본 북한 이해 / 원재천 51
Ⅰ. 들어가는 글 53
Ⅱ. 나치 독일의 T-4 프로그램과 캄보디아의 국민 정화운동 55
Ⅲ. 보편적 인권 개념과 국제인권법 57
Ⅳ. 유엔인권규범체계와 북한 인권 64
Ⅴ. 국제인권법과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 68
Ⅵ. 국제인권법과 북한 종교의 자유 71
Ⅶ. 결론 76
세 번째 강의
국제법 관점에서의 통일 이해 / 김세미 89
Ⅰ. 국제법이란? 92
Ⅱ. 대한민국, 북한, 국제법 94
Ⅲ. 한국 통일 이후 국제 조약의 운명 96
Ⅳ. 통일과 그 외 국가 승계 문제 102
Ⅴ. 결론 105
네 번째 강의
해외 사례를 통해서 본 통일 노력과 교훈 / 최용준 109
Ⅰ. 독일 통일의 교훈 111
Ⅱ. 해외에서의 통일 노력 126
다섯 번째 강의
탈북민의 적응과 삶 이해 / 전명희 139
Ⅰ. 탈북민을 이해하기 위한 관점 141
Ⅱ. 최근의 통계로 살펴본 탈북민의 삶 이해 149
Ⅲ. 탈북민의 남한 적응 과정 157
여섯 번째 강의
통일과 납북자 이슈 / 정모니카 171
Ⅰ. 잊혀진 사람들 173
Ⅱ. 정부의 제한된 대응 177
Ⅲ. 한반도 프라이카우프 모형 184
Ⅳ. 결론 186
일곱 번째 강의
남북한 언어의 이해 / 정지은 193
Ⅰ. 서론 : 남북한 언어와 세계시민의식 195
Ⅱ. 남북한 발음 차이의 이해 : 언어적 다양성의 표현 197
Ⅲ. 남북한 어휘 차이의 이해 : 언어적 다양성의 보고 200
Ⅳ. 북한이탈주민 대상 언어교육 방안과 남북한 언어 통합 : 상호문화적 접근과 디지털 시대의 도전 202
Ⅴ. 결론 : 언어 다양성의 존중, 통일 한국을 향한 첫걸음 205
여덟 번째 강의
통일 한반도의 균형적인 개발과 성장 /서덕수 211
Ⅰ. 한국의 불균형적 성장 213
Ⅱ. 지역 균형 발전 이론 217
Ⅲ. 균형적인 한반도 국토 계획을 위한 시사점 224
Ⅳ. 결론 230
아홉 번째 강의 1
빅데이터로 본 통일 / 박지현 233
Ⅰ. 북한 정보 관리의 새로운 도전 235
Ⅱ. 기술적 접근과 연구 방향 236
Ⅲ. 결론 247
아홉 번째 강의 2
남북한 소통과 협력을 위한 통일 ICT 플랫폼 KUBiC / 홍참길 251
Ⅰ. 서론 253
Ⅱ. 통일을 위한 언어 및 정보 장벽 극복 : 데이터와 기술의 융합 255
Ⅲ. 토의 및 결론 274
■ 다시 느낀 통일: 수업 소감문 나눔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