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게임 장르 용어 정리
1부. 게임 시나리오 기초 다지기
게임 시나리오에 대하여
- 게임 시나리오란?
- 내러티브vs스토리vs시나리오
- 게임으로 표현할 수 있는가
- 게임 시나리오 쓰기가 어려운 이유
- 요즘 스마트폰 게임 시나리오의 지향점
- TRPG와 게임 시나리오
- 시나리오 기반 게임vs게임 기반 시나리오
- 이 책에서 다루는 게임 시나리오 기획
[게임 사례] 던전 앤 드래곤즈
게임 시나리오 기획자에 대하여
- 게임 시나리오 기획자가 하는 일
- 게임 시나리오 기획자의 소양, 다양한 소재 이해하기
- 보여주기에 대한 부담
- 시나리오 기획자의 필수 능력, 커뮤니케이션
- 기획 의도 다루기
[게임 사례] 더 라스트 오브 어스
2부. 게임 시나리오 표현하기
보이는 글쓰기
- 읽히는 글vs보이는 글
- 보이는 글을 쓰는 방법
- UI에서 보이는 글 작성하기
- 가독성
[게임 사례] 다크 소울
게임 시나리오 작법
- 중심을 어디에 둘 것인가
- 시나리오 방향성과 의도를 숨겨라
- 문장보다는 문단에 집중하기
- 텍스트 분량은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
- 게임이기에 가능한 시나리오 형태
- 심리를 자극하는 게임 시나리오 작법
- 시나리오에 보상 더하기
-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
게임 시나리오 쓰는 데 도움이 되는 팁 5
- 창작 욕심 내려놓고 던져라
- 삼천포로 빠지지 않기
- 고쳐쓰기보다 많이 쓰기
- 문장 길이와 리듬
- 코어가 되는 말과 덧붙이는 말
[게임 사례] 투 더 문
3부. 게임 시나리오 전달하기
퀘스트 기획하기
- 목적을 구체화하고 나누기
- 퀘스트 테이블의 작성하기
- 인덱스와 스트링 테이블
- 퀘스트 테이블 구조화하기
- 서브 퀘스트 구분하기
- 연속 퀘스트를 기획하는 목적
- 퀘스트 완급 조절하기
- 퀘스트 스크립트 작성하기
- 클리셰에 대해서
게임 시나리오에 AI 활용하기
- AI를 활용한 퀘스트 작성하기
- AI로 게임 시나리오를 기획할 수 있을까
[게임 사례] 위쳐 3
세계관과 지역 설정하기
- 세계관 만들기의 기준
- 세계관 만들기-공간적 배경
- 세계관 만들기-개념적 배경
- 세계관 만들기-생물적 배경
- 세계관 만들기-문화적 배경
- 세계관 만들기-시간적 배경
- 세계관 만들기-기타 설정
- 설정은 서술형보다 목록형으로
- 세계관 소개 문구 작성하기
- 지역 설정과 레벨 디자인하기
[게임 사례] 호라이즌 제로 던
캐릭터 만들기
- 플레이어 캐릭터 기획하기
- 수집형 RPG 캐릭터
- 헤어와 복장으로 캐릭터 외형 설정하기
- 캐릭터의 외형은 역할을 나타낸다
- 캐릭터의 외형에 기획 의도를 담는다
- 외형 기획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콘텐츠 경험
- 캐릭터 성격 표현하기
- 평면적인 캐릭터 만들기
- 캐릭터의 원형과 다양한 캐릭터 구성하기
- 빅 파이브로 캐릭터 확장하기
- 캐릭터 조형, 커스터마이징이 있는 게임들
- 스킬 만들기
- NPC 만들기
- 모션과 표정 정리하기
[게임 사례] 페르소나 5 더 로열
몬스터 설정하기
- 1단계: 몬스터 분류하기
- 2단계: 리소스 설정하기
- 3단계: 리소스 설정하기
- 4단계: 리소스 설정하기
- 5단계: 리소스 설정하기
- 어그로 설정하기
- AI를 통한 몬스터 성격 나타내기
[게임 사례] 몬스터 헌터 월드
스토리 구성하기
- 이야기의 구성
- 게임의 스토리 전개 방식 4가지
- 게임에서 영웅의 여정은 유효한가
- 게임의 소명, 게이머의 소명, 주인공의 소명
- 왕도 파악하기
- 게임 타임라인은 무엇을 중심으로 하는가
- 환경을 통한 스토리 전달
[게임 사례] 니어 오토마타
스크립트와 다이얼로그
- 스토리보드
- 대화 장면 다이얼로그
- 비주얼 노벨 게임의 학습 효용
- UI 스크립트, 서버와 클라이언트
- 슈타인즈 게이트
연출하기
- 이펙트 기획하기
- 사운드 기획하기
- 카메라 연출 기획하기
- 텍스트를 활용한 연출
[게임 사례] 플레그테일
특수 시나리오
- IP 게임의 시나리오
- 이벤트를 위한 시나리오 작성하기
- 튜토리얼 시나리오 작성하기
미래를 위한 조언
- 시나리오 기획자가 되기 위해 준비해야 할 것들
- 포트폴리오 작성을 위한 조언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