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들어가며: 사화란 무엇인가
1장 무오사화
이 ‘사초’의 정체는 도대체 무엇일까7
이극돈, 유자광을 찾아가다
유자광, 김일손 사초 연산군에게 고하다
연산군, 사초를 보다
‘조의제문’이 단종과 무슨 상관인가
드디어 사림파 선비들을 죽이다
2장 갑자사화
“우리 임금이 달라졌어요!”
연산군은 누구인가
“내 옷에 술잔 엎지른 자 국문하라”
연산군, 장녹수의 치마폭에 푹 빠지다
임사홍, 폐비 사건 전말을 고하다
“세좌의 죄는 반역보다도 심하다”
왕을 갈아치워 잘못을 바로잡다
3장 기묘사화
훈구파, 허수아비 왕을 세우다
중종, 사림파 조광조를 등용하다
구언 상소가 사림파의 위상을 높이다
왕비 간택령 내리다
사림파, 개혁에 적극 나서다
가짜 공훈자 가려내 퇴출하다
‘주초위왕’ 새긴 나뭇잎 발견되다
중종, 밀지를 내리다
신무문의 난이 일어나다
“그렇다면 내 죽음은 틀림없소!”
개혁은 전광석화처럼 해야 성공한다
4장 을사사화
남곤도 가고, 심정도 가고
김안로, 권력의 핵으로 떠오르다
중종, 김안로 처단 밀지를 내리다
세자, 즉위하여 인종이 되다
인종, 7개월 만에 죽다
문정왕후, 을사사화를 일으키다
벽서사건으로 을사사화 완결되다
후기: 정치 보복의 역사를 끝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