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은이의 글
옮긴이의 글
1장 도입
1.1 ‘문화지리학’: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1.2 출발점: 이 책 활용하기(혹은, 우리는 문화지리학을 사랑한다?)
1.3 ‘문화’의 다양한 의미
1.4 ‘문화지리학’의 다양한 버전
1.5 문화지리학의 현재
1부 문화 과정과 정치
2장 문화 생산
2.1 서론: 문화지리학 교재 생산하기
2.2 문화 생산에 질문 던지기
2.3 의미, 담론, 취향 만들기: 문화 연구의 핵심 개념
2.4 문화 생산의 지리: 상품 사슬과 문화 산업
2.5 문화 공간의 생산 및 규제
3장 문화 소비
3.1 소비에 대한 개론
3.2 소비: 문화 하기(doing culture)
3.3 문화 소비의 지리
3.4 소비자 행위 주체성: 하위문화와 저항
3.5 문화 생산과 소비 연결하기
2부 몇몇 문화지리학
4장 건축지리
4.1 도입: 건물에 주목하기
4.2 문화지리학자는 왜 건물을 연구하는가?
4.3 건물이란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하는가?
4.4 건물은 무엇으로 만들어지는가?
4.5 건물 안과 주변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5장 경관
5.1 도입: …로서의 경관
5.2 ‘경관’ 정의하기: 몇 가지 말장난
5.3 물질로서의 경관
5.4 텍스트로서의 경관
5.5 수행/감정으로서의 경관
6장 텍스트의 지리
6.1 도입
6.2 공간/텍스트: 텍스트의 지리에 대한 접근 방식의 변화와 포스트구조적 도전
6.3 소설 지리
6.4 정책 텍스트와 담론 분석
6.5 세계를 쓰기: 지도, 페미니즘 그리고 지리학자가 들려주는 이야기
6.6 결론적 성찰
7장 수행의 지리
7.1 도입
7.2 음악 수행
7.3 스포츠 수행
7.4 춤과 행위 예술
7.5 일상생활 수행하기
7.6 결론: 정확히 무엇을 수행하는가?
8장 정체성
8.1 도입: 정체성의 복잡성
8.2 정체성 모으기: 본질주의와 시간-공간 특수 정체성
8.3 복잡성 더하기: 정체성에 대한 사회 구성주의, 관계적, 수행적 설명
8.4 정체성의 사회적 구성
8.5 관계적 정체성
8.6 정체성의 수행성
8.7 결론
3부 문화지리학자를 위한 핵심 개념
9장 일상의 지리
9.1 도입: 기다리기 …
9.2 일상의 지리 바로 알기
9.3 왜 일상생활이 중요한가?
9.4 일상의 ‘벗어남’
10장 물질
10.1 물건은 도처에 있다
10.2 ‘물건 따라가기’와 마르크스 유물론
10.3 유의미한 사물과 물질문화 연구
10.4 비인간지리와 이질적 물질성
11장 감정과 정동의 지리
11.1 도입: ‘감정적인’ 순간
11.2 ‘감정’ 표현하기의 어려움?
11.3 ‘감정적’ 전환?
11.4 ‘감정’ 또는 ‘정동’?
11.5 감정-정동으로서의 지리
11.6 정동적 실천
12장 신체의 지리
12.1 도입: 운동하기
12.2 신체 인식하기
12.3 신체 재현하기
12.4 신체적 실천
12.5 체현
13장 공간과 장소
13.1 도입: 지리, 공간, 장소
13.2 공간과 장소: 정의와 논쟁
13.3 핵심 모티프 1: 사회적 구성으로서의 장소(와 공간)
13.4 핵심 모티프 2: 스케일
13.5 핵심 모티프 3: 흐름/모빌리티
13.6 논의: 공간과 장소 다음은 어디인가?
14장 결론: 문화지리학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
14.1 도입
14.2 우리는 …여전히…문화지리학을 사랑한다? 문화지리학에 대한 개인적인 성찰
14.3 문화지리학의 다음 단계는 어디인가… 문화지리학은 여러분을 어디로 데려갈 것인가?
참고문헌
찾아보기
지은이, 옮긴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