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 례
서문
1강 한국에서 청년세대의 반권위주의 1: 디지털화와 B급 감성의 정치
1. 못다 핀 오프라인의 반권위주의 요구와 디지털 세계의 아노미
2. B급 감성의 디지털 반권위주의 정치: "비판"에서 "조롱"으로
2강 한국에서 청년세대의 반권위주의 2: 온라인 게임문화와 세계관
1. 남성 온라인 게임문화와 극단적 "남성 소비자 정치"의 등장
2. 남성 지배적 놀이문화: 게임, 재미, 능력주의
3강 한국에서 청년세대의 반권위주의 3: 청년 여성의 자생적 페미니즘
1. 한국 페미니즘의 세대교체: "올드 페미니즘"-"영 페미니즘"-"자생적 페미니즘"
2. 기성세대 페미니즘과 청년 여성의 "자생적 페미니즘" 간 단절과 연속
4강 "루저" 남성성의 등장과 한국 청년 남성의 "생물학적 정체성" 정치
1. "일베" 사이트와 "루저" 남성성 정치의 등장
2. 한국 청년 남성의 "생물학적 정체성" 정치
5강 한국 청년 여성의 페미니즘 정치
1. 한국 청년 페미니즘과 여성의 "생물학적 정체성" 정치
2. 한국 청년 여성의 자생적 페미니즘: "공정성"보다 "평등"
6강 공정성
1. 공정성이란 무엇인가?
2. 근대 사회에서 공정성 개념은 어떻게 변화했나?
7강 한국 청년층의 공정성 개념
1. 기성세대의 "공명정대"와의 차이
2. 청년 내부 남녀 간 공정성 의식의 차이
8강 근대 자유주의와 벡의 개인화 이론
1. 근대 초기 자유주의 개인화의 역설: 새로운 신분제적 공동체로의 재편
2. 산업사회의 고도 발전이 불러온 제2개인화
9강 한국 청년세대의 공정성은 신자유주의적인가?
1. 한국 청년층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압축적 변화: 압축적 개인화
2. 한국 청년세대의 특징은 신자유주의적 공정성?
10강 위험사회로의 탈바꿈과 한국 청년세대의 공정성 의식
1. 위험사회로의 탈바꿈이라는 문제
2. "성찰"을 뛰어넘는 새로운 관점 제기와 위험사회의 공정성
11강 청년층과 기성세대의 규범 대립
1. 한국 586세대의 "자연화"한 유교 규범과 한국 사회의 비선형적 "탈유교화"
2. 남성의 세대 간 젠더의식 차이: 기성세대 남성 대 청년 남성
12강 청년층의 "젠더갈등"에 대한 기성세대의 대응
1. 비대칭적 "불평등" 프레임에서 대칭적 "젠더갈등" 프레임으로
2. "젠더갈등"의 정치적 이념화와 "산업사회" 관점의 문제
13강 청년층 정치 성향의 성별 양분화 현상
1. 중장년 남성들의 정치 성향 비교: 극우화(서구) 대 민주화(한국)
2. 전 세계 "Z세대"의 특성: 정치 성향의 성별 격차
14강 불평등의 복잡화와 민주주의의 위기
1. 불평등의 복잡화와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규범의 위기
2. 혐오정치: 복잡한 불평등을 본질주의로 축소하는 "인식론 정치"
15강 출구는 있는가?
1. 세상에서 가장 우울한 나라 한국?: 기성세대의 문화 권력을 돌파하기 어려운 청년들
2. "개인 되기"의 새로운 길 모색: 보편적 돌봄 관계 속의 개인 주체화
주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