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콘텐츠가 둘러싼 사회 7
1장 일루지오: 50억 명의 경험기계 20
경험기계 이야기 20 / 경험기계의 시초, 텔레비전 26 / 콘텐츠, 경험기계가 되다 29 / 콘텐츠의 자본화: 참여자 수의 폭발 32 / 경험기계와 화장실의 공통점 37
2장 구별짓기: 손가락 스펙터클 43
상향비교 기계 43 / 제1의 콘텐츠와 제2의 콘텐츠 47 / 카타프로네인으로서의 제2의 콘텐츠 50 / 정상성의 강박 57 / 내면을 끄집어내기 61 / 내면으로부터의 과시: 장인 자본주의와 스펙터클의 기원 65 / 과시의 이미지: 대유튜브의 도시 71 / 내면 없는 과시: 연예인의 부동산 74
3장 분류하기: 알고리즘이 만든 군집 78
알고리즘, 개인화를 대량생산하다 78 / 알고리즘, 만남을 대량생산하다 82 / 알고리즘과 통념의 만남 86 / 챗GPT가 게임플레이를 한다면? 92
4장 길들이기: 감언 생산자로서의 비인간 98
가짜 칭찬에도 춤출 수 있다 98 / 감언의 소멸과 감언기계 101 / 인지적 구두쇠와 감성적 낭비꾼 104 / 무감언기계, 알파고의 흔적 106 / 과의존 이후 닥치는 일들 111
5장 접합하기: 콘텐츠는 외로움을 먹고 산다 116
문제는 권태다 116 / 문명화, 홀로 있을 수 있는 능력 123 / 은둔자의 뿌듯한 하루 124 / 여행하는 은거인 131 / 프로테우스 효과 138
6장 시빌리테: 예의 바른 콘텐츠 141
시빌리테, 가면을 쓰는 능력 141 / 호칭의 상징: 자기통제와 공동체의 유지 143 / 호혜의 콘텐츠: 안전과 신뢰의 생산 148 / 콘텐츠와 호혜적 감수성 151 / 보이지 않지만 넘치는 협력 158 / 게임에서 게임하지 않는 사람들 163 / 매너와 자유로움: 호그벡 마을의 게임 165 / 정직하지 않은 마을: 버튜버의 세계 170 / 가장 설득력 있는 행동은 모방이다 176 / 예의 바른 유저 179
7장 위치감각: 길을 여는 감수성 184
고정관념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184 / 역사적으로 형성된 감수성 190 / 20대 여성과 대도시 195 / 성소가 된 기업 199 / 콘텐츠 프리덤과 동료의 성공 201 / 감수성 읽기와 새로운 지역 모델 207 / 혈연, 학연, 흡연 그리고 세연: 문제는 세계관이다 211 / 게임에서 게임을 만드는 사람들: 불만을 분해하는 감수성 214 / 현존감의 두 얼굴: 중독과 치료 216 / ‘세상에서 가장 긴 거리’의 교육적 효과 221
8장 이동하기: 문화 엘리트의 공간들 225
‘창조성 민주주의’의 파동 225 / 다중격차의 시작: 2015년 체제 227 / 대도시의 중산층 235 / 5.8km에서 580km까지: ‘강남 궁정’의 탄생 238 / 확산자, 옴니보어 241 / 옴니보어, 과시 계급이 되다 246
9장 무사무욕: 통념을 비트는 ‘케트맨’ 251
부차선 이데올로기의 허점 251 / 열정은 확률을 거부한다 255 / 의도된 일탈정신: 콘텐츠는 어떻게 기회를 만드는가 259 / 동심원 구조 속의 뒷사람 264 / 곳곳의 케트맨들 266
10장 아방가르드: ‘자유로운 정신’의 사회 269
‘항준적 사고’와 콘텐츠의 발전 269 / 몰입에 자유로운 정신 273 / 글로벌 소통에 민감한 정신 278 / 도시와 지역의 바이브 정신 285 / 콘텐츠, 사회 활력소 289
출처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