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 이 책의 대상 11
학문적인 글이란| 학술논문의 종류| 학위논문의 특징| 논문 작성에 필요한 시간| 마음가짐|
정보와 논증
2. 분야 정하기 29
전문분야란| 조심할 점들| 분야를 정하기 위해
3. 테마 정하기 51
테마가 너무 넓어서는 안 된다| 테마를 구체적으로 정해야 하는 이유| 테마를 줄이기 위해|
‘나의 테마’여야 한다| 다른 사람이 이미 다 한 이야기
4. 연구의 방법 76
연구방법의 종류| 한 방향에 집중하자| 직업활동을 하는 연구자(실무가)의 경우|
법학을 거의 처음 배우는 때| 석사논문 없이 박사논문 쓰기| 무엇부터 무엇까지 쓸 것인가
5. 참고문헌의 활용 95
문헌과 테마의 관계| 참고문헌 수집에서 조심할 점| 문헌을 찾는 요령|
참고문헌이 글을 써주지는 않는다
6. 정리와 기록 109
정리ㆍ기록의 중요성| 테마와 아이디어| 공부한 내용
2
7. 목차 정하기 125
주제를 향해 집중되도록| 논문의 개관작성| 목차를 잘 만들기 위해서는
8. 논문 글쓰기의 원칙 147
공원을 조성하는 것과 같다| 쉬운 말로 쓰자| 우리글로 쓰자| 세 줄을 넘지 마라|
독자가 누구인가| 개념정의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쓰자| 필요한 것만: 반복의 문제|
독자의 눈으로| 논문 분량에 대해서| 글솜씨
9. 문헌 분석 179
문헌인용: 문장이 아니라 내용을 옮겨야 한다| 자료의 소개가 아니라 논증 대상의 확인이어야 한다|
참고한 자료의 양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참고한 내용의 질이 중요하다|
논문에서 인용해야 한다| 유사한 판례(사례)를 많이 나열하지 말 것| 내가 주인공이다
10. 자기 견해 쓰기 195
생각을 정할 때| 자신 있는 논증| 결론을 구체적으로| ‘권위’를 앞세움| 심사숙고한 것만 쓸 것| 어떻게 새로운 생각과 만나는가| 아전인수가 되지 않도록| 반론가능성을 함께 생각하라|
논증이 ‘대화’가 되도록 하라| 분명하고 단정하게|
논리학의 기초를 알아야 한다| 서론과 결론
11. 각주와 참고문헌 목록 만들기 231
각주 만들기| 참고문헌 목록 만들기
12. 제목차례, 초록, 기타 257
제목차례(목차)| 초록| 머리말(인사말)| 기타
3
13. 연구자의 윤리 263
표절의 책임| 표절에 대한 원칙| 자기표절과 중복게재| 책을 논문으로, 논문을 책으로 만들기
14. 글의 교정과 꾸미기 291
교정| 형식과 꾸미기
15. 학위논문 심사 303
16. 학술지 논문의 경우 307
테마| 간결한 논증| 초록과 주제어| 학위논문의 이용| 학술지 선택|
학술지 논문을 읽는 사람들| 마음가짐
에필로그| 315
약어표시| 317
참고한 자료|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