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널리즘 연구 1: 뉴스의 생산』
009 머리말
023 1장 언론은 여전히 필요한가
024 - 1. 언론이란 무엇인가
028 - 2. 가치 있는 언론
041 - 3. 언론의 역할이 한계에 도달했다는 주장
053 - 4. 소결: 언론은 여전히 필요하다
055 2장 언론의 위기
056 - 1. 언론 위기의 양상
063 - 2. 언론 위기에 대한 논의들
080 - 3. 언론의 정치적 편향성 인식
087 - 4. 소결: 언론 위기의 해법은 언론 현장에서 찾아야 한다
091 3장 현장 속으로
092 - 1. 언론 현장의 의미
093 - 2. 뉴스 생산에 관한 기존 연구들
104 - 3. 현장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설계
108 - 4. 연구 방법의 보완
116 - 5. 소결: 현장 연구의 가능성, 한계, 그리고 보완
119 4장 뉴스 생산 과정
121 - 1. 뉴스 생산 공간
128 - 2. 뉴스 생산 주체 간의 상호작용
157 - 3. 종합적인 뉴스 생산 과정
164 - 4. 게이트키핑과 데스킹
185 - 5. 지면 편집
191 - 6. 소결: 긴밀하고 숨가쁜 협업으로서의 뉴스 생산 과정
195 5장 일선 기자
197 - 1. 일선 기자 동행 관찰
200 - 2. 동행 관찰 기록
244 - 3. 일선 기자 동행 관찰이 말해주는 것들
256 - 4. 소결: 일선 기자들이 보여준 희망
261 6장 밀착 관찰 I: 사회부
263 - 1. 사회부 밀착 관찰
266 - 2. 밀착 관찰 기록
319 - 3. 사회부 밀착 관찰이 말해주는 것들
332 - 4. 소결: 시시포스적 헌신
335 7장 밀착 관찰 II: 정치부
337 - 1. 정치부 밀착 관찰
338 - 2. 밀착 관찰 기록
386 - 3. 정치부 밀착 관찰이 말해주는 것들
396 - 4. 소결: 데스크들이 주도하는 정치 뉴스 생산
401 8장 뉴스의 편집
404 - 1. 신문의 편집
406 - 2. 판별 지면 데이터 수집과 코딩
412 - 3. 판별 기사의 변화
429 - 4. 판별 기사 제목의 변화
437 - 5. 판별 사진의 변화
460 - 6. 판별 기타 이미지의 변화
464 - 7. 소결: 편집, 모든 것을 다시 훑는 작업
467 9장 추가 편집
470 - 1. 53판의 변화
488 - 2. 54판의 변화
493 - 3. 소결: 추가 편집, 집요한 사실 확인 과정
495 10장 현장으로부터의 성찰
497 - 1. 연구의 출발점: 언론의 가치, 언론의 위기, 학계의 역할
500 - 2. 언론 현장과 뉴스 생산 과정
516 - 3. 현장으로부터의 성찰
528 본문의 주
568 부록 ① 참여관찰 일정 및 주요 관찰 내용
551 참고문헌 ② 일자별로 수집한 데이터 유형
③ 50판 분석용 코딩북
④ 51/52/53/54판 분석용 코딩북
⑤ 인용원 분석을 위한 코딩북
『저널리즘 연구 2: 뉴스 생산자』
007 머리말
021 프롤로그: 언론인은 어떤 존재인가
1부. 사회적 환경과 정치권력의 감시
048 01. 사회부 기동취재팀장 박순찬
104 02. 사회부장 최원규
138 03. 정치부 데스크 최경운
174 04. 정치부장, 정우상
208 05. 전 기자, 김수혜
2부. 언론의 파괴 혹은 새로운 언론의 창조
242 06. 조선NS 대표, 장상진
284 07. 조선NS 기자, 김소정·최훈민
338 08. 전문기자, 박종인
3부. 언론은 이렇게 세계의 그림을 완성한다
388 09. 편집부장, 이택진
420 10. 편집국장, 주용중
4부. 글이 칼보다 강한 이유
454 11. 논설위원, 선우정
500 12. 주필, 양상훈
5부. 언론의 우산
540 13. 사장, 방상훈
576 에필로그: 이제 사회가 언론을 지켜야 한다
586 본문의 주
610 부록 ① 심층 인터뷰 참여자 ② 심층 인터뷰 질문지
607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