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제1장 지구촌 인류에게 일자리 사냥이 시작되었다
1. 대구, 청룡의 한 해, ‘청년 일자리’가 넘쳐나기를!
2. 인류 최초의 직업은 산파(産婆, Midwife)였다!
3. 달빛에 물든 지구촌의 신화를 찾아서
4. 지구촌, 하루의 시간 변화와 인류의 이동 생겨나다
5. 혹독한 기후변화는 낙원 아프리카를 떠나게 했다
6. 대재앙이 인류를 사멸케 하는 궁지로 몰기까지
7. 기후변화가 인류를 지구촌으로 몇 번이고 흩뿌렸다
8. 한반도에서 돌 주먹도끼를 만들었던 선인들은?
제2장 지구촌에 인류 출현 이후 줄기도 했을까?
1. 지구상 현 인구가 이제까지 살았던 사람보다 많다고?
2. 지구촌엔 5번이나 멸종이 있었고, 6번째는 인간을 대상으로?
3. 인류사에서 선인들은 어떻게 저출산을 극복했을까?
4. 로마제국의 저출산 망국병에 대한 치유 처방전은?
5. 성군 세종대왕 때, 사람고기 먹은 이야기와 소가 웃는 일까지
6. 세종의 충격요법으로 저출산을 날려 보냈는가?
7. 노예제가 생산적이라는 미국의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8. 우리나라의 출산장려정책은 어디로 가나?
제3장 엄마 찾아 3만 리, 일자리 찾아 3만 리
1. ‘엄마 찾아 3만 리’가 오늘날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는?
2. 부다 가야 제철 유목민, BC 350년경 김해에 자리 잡기까지
3. 인류 역사에서 인간의 일자리는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
4. 남한이 일본 미래의 ‘테스트 베드(Test Bed)’가 되었다
5. 미국의 ‘거대한 체스판’에 일본이 훈수로 한국 졸(pawn)을 둔다
6. 일자리 복지(job welfare), 정치구호만으로 마련될까?
7. 오늘의 실행만이 내일의 일자리(먹거리)를 만든다
8. 일자리로 인한 ‘소득의 양극화’는 상상을 초월!
제4장 미래의 일자리는 어디서 어떻게 생겨날까?
1. 석유탐사 ‘피범벅으로 채워지리라’란 영화를 국민에게 보여주기
2. 축복과 저주가 눈앞에 놓였으니, 오늘날 우리의 선택이다
3. 소형 모듈 원자로(SMR)가 미래 먹거리가 될까?
4. 탈산업화(脫産業化) 시대의 미래 먹거리(일자리)는?
5. 컴퓨터화, 로봇화 그리고 인공지능이 몰고 올 미래 일자리
6. 저출산·고령화가 지구촌 번영에 순풍일까? 역풍일까?
7. 과거 인구 증가 땐 인간이 상품 혹은 소모품이었다
8. 일자리 창출 곡선(Job Creation Curve)은 어떤 모양인가?
제5장 틀에 갇힌 선택보다 판을 깨고 나가라!
1. 대구에선 왜 ‘틀에 갇힌 선택’만을 해왔는가?
2. 대구의 미래는? 지금 대구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요?
3. 아무것도 하지 않은 죗값으로 우리는 강제로 죽음에 끌려간다
4. 기름 미꾸라지(미래 먹거리)를 잡는 ‘은밀한 그물’ 짜기는?
5. 노벨상 수상자의 자문이 대구의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안 돼!
6. 서문시장 열쇠·시계 수리공이 말하는 미래 일자리 만들기
7. ‘일자리 창출’ 관련 우리나라 법제 시스템을 해체해 보면?
8. 미래 일자리는 당신의 디자인에 따라 만들어집니다!
부 록
인용 문헌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