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장 국민안보의식을 생각하면서
제2장 국민안보의식 연구를 위한 설계
1. 국민안보의식, 어디까지 연구되었는가?
2. 안보의식과 관련된 법령적 근거
3.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제3장 현대전의 특징과 안보의식의 중요성
1. 현대전의 특징
2. 전쟁과 국민의 전쟁의지
3. 현대전에서 국민안보의식의 중요성
제4장 한국의 국민안보의식 수준과 안보교육의 현주소
1. 안보의식과 안보교육의 상관성
2. 현재 국민안보의식의 수준 진단
3. 건국 이후 시기별 국민안보교육의 변천과정
4. 대상별 안보교육의 현주소
제5장 주요 선진국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시사점
1. 주요 선진국의 국민안보의식 함양을 위한 노력들
2. 외국의 사례에서 배울 수 있는 시사점
3.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사례와 교훈
제6장 국민안보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대안들
1. 법적 근거 확립 및 관련 법령 간의 연계성 강 화
2. 소관 부처의 명확화와 협력체계 강화
3. 안보와 안보교육을 위한 대전략 구축
4. 정부-학교-군-민간의 안보교육 거버넌스 구축
5. 국민안보의식 평가 및 조사체계의 발전
제7장 대한민국 국민안보의식의 앞날을 기약하면서
참고문헌
[보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한국의 국가안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