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계엄령과 군의 명령 복종, 법적·윤리적 경계 _4
제1장 왜 우리는 명령에 복종하는가?
1. 우리는 왜 명령에 복종하는가? _11
2. 인간 사회에서 권위의 역할 _13
3. 왜 우리는 지시를 따를까? _16
4. 명령과 복종의 역사가 만들어낸 사회적 규범 _20
5. 복종의 기원 _26
6. 복종은 최초의 사회적 계약 _30
7. 어떤 리더가 성공하는가? _33
8. 복종의 뒷면 저항의 심리학 _38
9. 복종이 가져오는 위험, 반항의 순간 _42
10. 일상 속의 명령과 복종 _46
11. 사회적 규범과 법, 어떻게 권위는 우리를 지배하는가? _55
12. 권위에 대한 신뢰와 회의 _59
13. 권위에 대한 회의와 불신: 정치적, 사회적 환경에서의 변화 _68
14. 명령에 대한 복종을 넘어서: 개인의 자유와 선택 _72
15. 복종 vs 자유: 선택의 문제 _75
16. 권위에 저항하는 법: 비폭력적 저항과 자유 _78
17. 현대 사회에서 권위와 자유의 균형 찾기 _80
18. 새로운 시대의 명령과 복종 _83
19. 글로벌 사회에서의 권위와 리더십 _92
20. 미래의 복종: 인간, 기계, 그리고 사회의 관계 _95
제2장 명령과 복종의 역사적·문화적 탐구
1. 동물과 자연의 세계에서 명령과 복종 _101
2. 종교에서의 명령과 복종 _104
3. 문학작품 속 명령과 복종 _109
4. 역사적 사건에서 명령과 복종 _115
5. 역사적 사건에서 명령에 따른 인간의 반응 _119
6. 사상가들의 관점에서 본 명령과 복종 _123
제3장 위법한 명령, 그리고 그에 따른 책임
1. 명령 복종의 법적·윤리적 근본 _129
2. 명령과 복종의 정의: 권위와 순응의 복잡한 상호작용 _131
3. 군대와 경찰에서의 명령과 복종 원칙: 명령의 권위와 그로 인한 결과 _134
4. 법적 정당행위와 복종의 관계: 권위와 책임의 경계 _137
5. 윤리적 차원에서의 복종: 법과 도덕 사이 _140
6. 위법한 명령, 그리고 그에 따른 책임 _144
7. 명령을 수행한 자의 인식 여부 _147
8. “상급자의 명령을 무조건 따르라”는 원칙의 한계 _148
9. 위법한 명령에 따른 복종, 그 법적 책임 _152
10. 명령자의 불법적 의도와 부하의 책임 _155
11. 법적 책임의 구체적 적용 사례 _158
12. 명령과 복종: 형법 제20조와 정당행위 원칙 _162
13. 위법한 명령에 대한 면책 이론: 긴급피난, 강요된 행위 _166
14. 명령 복종의 실천적 문제 _170
15. 역사적 사건과 그에 따른 복종과 책임 논란 _174
16. 군사 작전 및 대민 관계에서 발생하는 위법 명령의 현실적 문제 _178
17. 명령 복종에 대한 사회적, 정치적 논란 _182
18. 법적·윤리적 성찰: 위법한 명령을 따르는 것에 대한 고민 _187
19. 법적 책임과 도덕적 책임의 충돌 _191
20. 명령에 대한 ‘선택적 복종’의 가능성_195
21. 복종과 반항, 그 사이의 경계 _198
22. 군대와 경찰에서의 명령 복종에 대한 개선 방향 _202
23. 명령과 복종의 윤리적·법적 경계 _206
24. 위법한 명령과 그에 따른 책임의 재정의 _210
25. 항명죄와 명령의 의미에 관한 판례분석 _214
26. 군대와 경찰을 넘어, 모든 조직에서의 복종 문제 _220
27. 향후 법적 제도 개선 방향과 사회적 논의 필요성 _224
제4장 명령과 복종의 조직적 측면
1. 명령의 복잡성과 조직 내 권위 _229
2. 인간사회와 조직에서의 복종 _231
3. 조직 내 명령의 구조와 원리 _235
4. 특수 조직에서의 명령 관계 _240
5. 군대조직의 목적과 특성 _246
6. 현대 군대의 조직구조: 변화하는 권위와 혁신 _251
7. 계층 간 엄격성의 완화: 군대조직의 변화하는 모습 _255
8. 상관의 권위적 지위 저하: 군대 내 변화하는 권위의 모습 _258
9. 위계질서의 역할: 군대 내 계급의 중요성 _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