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 ∙ 태지호
문탄화콘텐츠의 탄생
문화콘텐츠의 정의
문화콘텐츠의 끝없는 외연 확장력
02 문화콘텐츠는 변화하는 학문이다 ∙ 태지호
문화콘텐츠는 어떻게 학문이 되었나
문화콘텐츠학은 무엇을 다루는가
문화콘텐츠학은 어떻게 하는가
문화콘텐츠학의 미래
03 문화콘텐츠는 원형의 변주다 ∙ 안창현
문화 원형, 매력적인 창작 소재
문화 원형과 가치
문화 원형과 변주
문화 원형 활용 사례
04 문화콘텐츠는 스토리텔링이다 ∙ 신호림
이야기와 지식 체계
이야기의 가치 변화와 스토리텔링의 등장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원리
스토리텔링의 역설과 실천적 가능성
05 문화콘텐츠는 체험과 공감이다 ∙ 임동욱
체험 경제의 시대
콘텐츠 체험 요소의 강화
문화콘텐츠는 공감이다
비극 콘텐츠의 공감 활용
06 문화콘텐츠는 기획이다 ∙ 이종훈
기획의 역사
문화콘텐츠와 기획의 접합
문화콘텐츠에서 기획이란
07 문화콘텐츠는 산업 정책이다 ∙ 이건웅
문화 정책의 개념
한국과 해외의 문화콘텐츠 정책
한국의 문화 정책 쟁점들
해외의 문화 정책 쟁점들
08 문화콘텐츠는 대중문화다 ∙ 노창현
대중과 대중문화
대중문화는 왜 항상 논쟁의 대상인가
문화콘텐츠와 대중문화의 공통 특성
대중문화 주체로서의 향유자
09 문화콘텐츠는 기술 융합이다 ∙ 임동욱
융합의 시대, 콘텐츠의 탄생
인문 예술과 과학기술의 융합
기술 융합에 대한 시선들
10 문화콘텐츠는 글로벌 콘텐츠다 ∙ 이건웅
한국 콘텐츠의 세계화
한류와 혐한류
웹툰의 세계화
한식의 세계화
11 문화콘텐츠는 로컬 콘텐츠다 ∙ 안창현
지역성을 갖춘 콘텐츠는 독특하다
지역문화와 문화 산업
지역과 관광 공연 상품
문화를 활용한 도시 재생
12 문화콘텐츠는 예술이다 ∙ 이종훈
문화콘텐츠와 예술의 공유 영역
근대 예술의 난관
예술과 삶의 화해
예술과 문화콘텐츠
13 문화콘텐츠는 산업이다 ∙ 성종현
문화콘텐츠 산업의 정의와 특성
문화콘텐츠 산업의 동향과 환경 변화
문화콘텐츠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분석과 전략
문화콘텐츠 산업의 성공 사례와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