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1
추천사 2
서문
1부 광개토태왕릉비
1장 한국 고대사의 최대 이슈
1. 변조된 당대의 기록
2. 능비, 세상에 다시 출현하다
3. 태왕의 일생과 능비의 가치
4. 임나일본부의 첫 번째 근거
2장 논란의 신묘년 기사
1. 능비 해석의 과거와 현재
2. 변조의 증거 ‘倭寇□潰’
3. 문맥의 모순과 변조 방식
4. 신묘년 기사의 해석들
3장 비문을 복원하다
1. 신묘년 기사의 복원
2. 변조의 핵심 〈병신년조〉의 ‘討倭殘國’
3. 신묘년과 경자년 기사의 문헌 기록들
4장 비문 변조의 목적과 탁본 이야기
1. 정한론과 요코이 타다나오
2. 탁본이 말하는 진실
3. 바다를 건넌 고구려
4. 각국의 역학 구도
5. 나머지 소소한 이야기들
5장 임나의 위치는 어디인가
1. 한일 고대사의 화두, 임나
2. 대마도 설과 규슈 설
3. 〈숭신 65년조〉의 계림 위치
4. 전기 임나와 후기 임나
6장 그 밖의 주요 쟁점들
1. 속민과 신민의 뜻과 차이
2. 종발성과 안라인수병의 해석
3. 신라성의 위치
4. 고구려 남정(南征)과 가야 쇠락
5. 올바른 비명(碑銘)과 편년 바로잡기
7장 부활하는 태왕의 꿈
1. 태왕의 부활과 일본의 태도
2. 한민족 자긍심의 표석(標石)
◆ 광개토태왕릉비 요약 및 석문(釋文)
2부 진경대사탑비
서문
1장 탑비를 통한 또 다른 역사 왜곡
1. 탑비의 개관 및 내용
2. 신김씨와 임나 왕족 그리고 흥무대왕
2장 임나 왕족의 정체와 임나의 위치
1. 대사의 선조와 임나 왕족 ‘草拔聖枝’
2. 선조 초발성지의 투항
3장 임나는 어디에 있었나
1. 불확실한 임나의 위치
2. 『송서(宋書)』 〈왜국(倭國)조〉의 임나 기록
3. ‘草拔’의 풀이를 통한 임나의 위치
4. 신김씨의 또 다른 흔적들과 비문의 올바른 해석
4장 임나를 한반도에 고착하려는 목적
1. ‘草拔聖枝’가 인명이면 안 되었던 이유
2. 투항의 대상이 신라인 이유
에필로그 | 비문 전쟁의 뒷이야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