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서장. 평화·통일의 이론, 실천, 그리고 전망
제1부. 평화를 위한 통일, 통일을 위한 평화
제1장 한반도 탈냉전과 평화ㆍ통일의 경로 - ‘냉전ㆍ분단의 공동체’ 극복과 새로운 ‘삶의 공동체’ 형성 모색 [허 은]
제2장 동아시아 현대사 맥락의 한반도 통일과 평화 -내셔널리즘, 분단체제, 그리고 중국 [박상수]
제3장 ‘평화로(路)’들의 교차로 - 남북연합론의 갱신[이동기]
제4장 사회적 실험으로서의 편입 -동독의 관점에서 본 독일 통일방식의 역사와 결과 [라이 콜모르겐(Raj Kollmorgen)]
제2부. 통일 교육의 현황과 방향: 통일 전, 통일 후
제5장 한국 정부의 통일 교육 - 역사, 현황, 방향[김진환]
제6장 시민사회 통일교육 - 평가와 과제[정영철]
제7장 독일 통일 후 구동독(신연방주) 직업교육훈련의 변화-1990년대를 중심으로[유진영]
제8장 독일 통일 이후 역사수업 및 역사의식의 변화와 지속[팔크 핑엘(Falk Pingel)]
제3부. 남북 교류·협력의 과거와 현황
제9장 남북 환경협력과 한반도 탄소중립 기후공동체 구축 방안 -녹색기후기금(GCF) 재원 및 기후프로젝트 활용을 중심으로[한상민]
제10장 남북 과학기술협력의 역사 고찰과 나아갈 방향[김종선·이춘근]
제11장 팬데믹과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김신곤]
제12장 녹색벨트 독일 - 성취, 경험 그리고 걸출한 문화유산[카이 프로벨(Kai Frobel)]
제4부. 남북 주민 사회·문화 통합의 모색
제13장 통일이후 남북한의 사회문화통합을 위한 고민[이우영]
제14장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본 분단과 통일[최현덕]
제15장 1989년을 전후한 체제교체의 일상[케어스틴 브뤽베(Kerstin Brückweh)]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