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서론
《제1부 존재 조건 및 주체》
제1장 시간문화
1. 시간체제와 탈/식민성
2. 민속적 시간문화 양식의 특이성
3. 시간문화 양식의 전통성과 구조적 변환
제2장 판
1. 판의 개념 층위와 인식 경향
2. 판의 생명론 혹은 문화론
제3장 다중
1. 무속 표상의 다중적 성격
2. 다중의 습속 혹은 생성으로서 문화영토
3. 민속 주체의 변환, 다중 혹은 ‘미디어-다중’
《제2부 의미와 생성》
제1장 사건
1. 하늘 세계 혹은 사건/의미 계열체의 특이성
2. 무속 수륙재, 잠재적 사건/의미 계열체
3. 접힘과 펼침, 사건/의미 계열체의 구조적 역동
제2장 재현
1. 공연/문화 텍스트 재현의 동학(動學)
2. 의례적 선취의 불/가능성
3. 비대칭적 재현의 새로운 가능성
4. 민속의 재현과 혼종적 구성/배치
제3장 정동
1. 힘의 출처와 슬픈 정념
2. 정동의 구성과 이행의 효과
3. 봉인된 정동의 파국과 행방
《제3부 소통과 매개》
제1장 구술기억
1. 마을민속 놀이와 여가에 대한 기억
2. 단절 이후 복원된 문화적 기억
3. 배제/망실된 무풍속에 대한 기억
4. 잊혀진 풍물예인에 대한 파편화된 기억의 쟁투
5. 기억의 확장과 변형 혹은 의례화된 기억의 정치
제2장 감성-미디어
1. 굿이라는 매체 혹은 감성적 언표
2. 개념의 매개와 중첩의 한 방식: ‘서발턴-감성’
3. 감성-미디어, 개념적 매개와 중첩
《제4부 자본과 위기》
제1장 문화자본
1. 굿문화 자본의 자율적 생성 프로젝트
2. 문화자본의 지형과 굿문화의 혼종적 이접
3. 연행 주체의 문화자본과 실천 감각
4. 굿문화장의 생성 전략과 실천의 의의
제2장 인류세
1. 삶 노동의 단자화와 위기의 일상화
2. 인류세와 자본세, 위기 인식과 그 비판
3. 미래의 통찰로서 민속/지식의 재인식
4. 가치실천 양식의 전환과 함께 살기의 가능성
《제5부 변환과 대안》
제1장 하이브리드
1. 민속사회와 문화의 혼종적 성격
2. 감정구조와 문화장의 혼종적 재구
3. 혼종화된 민속의 가능지대와 그 의미
4. 민속적인 것의 근대적 배치와 혼종화
5. 민속/지식 생산의 근대적 재현과 혼종적 재구
제2장 공동체문화
1. 마을연구 담론의 주요 경향과 민속학적 성과
2. 마을연구 담론의 확장 가능성과 의의
3. 마을행동, 공동체문화의 실천적 함의
4. 공동체문화의 특이성과 포크 모더니티
결론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수록 도판 크레디트
총서 ‘知의회랑’을 기획하며
총서 ‘知의회랑’ 총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