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1부 인문지리의 지평
인류세에 대한 인문학적 대응과 행성적 사유 / 고봉준
벽 허물기 시대, 로컬 기반 교양교육연구소의 역할과 전망-이론적 모색을 중심으로 / 김화선
지역문화, 문화활동가, 문화권력 / 김흥군
박인환 시의 고향 의식과 시 쓰기의 의미 / 류상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대인관계와 행복 / 문은식
지역사회 에너지 위험인식과 의사소통-정보와 소통의 관점에서 / 왕재선
2부 삼척학의 현 단계
동해 해양 안보 역사 / 김대영
삼척의 방언과 음운 / 김동훈
지역학, 도시 재생의 기제 / 남기택
13세기 고려 지식인의 몽골 인식 비교-이규보·김구와 이승휴를 중심으로 / 윤은숙
일제강점기 삼척공립직업학교의 운영과 졸업생의 활동 / 장경호
산업전사의 의미 규명과 삼척지역 탄광 유산의 자원화 전략 / 정연수
3부 미래와 전망
한국어 주격중출구문 연구에 대한 고찰 및 급진구문문법에 기댄 제안 / 김일규
인터넷상의 악성댓글과 관련한 대응방안에 대한 고찰
-일본의 「서비스 제공자 책임제한법」을 중심으로 / 박용숙
대학 교양 탁구 수강생을 위한 심리훈련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 / 오원석·백진호
도교 관련 한글 옛 문헌에 나타난 글자체의 특징 및 궁체 양식 고찰 / 유정숙
여성적 글쓰기로서 「일타홍(一朶紅) 이야기」-충남 금산군 지역 여성 지인담 / 이민호
과정 중심 접근법을 기반으로 한 효과적인 영작문수업 방안 모색 / 주미진
독후감|후회하지 않을 용기에 대하여-「이처럼 사소한 것들」을 읽고 / 김언재
서 평|반대의 반대-「자그맣고 커다란 고릴라」에 대하여 / 노유나
소 설|타점 / 최봉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