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사회적 전환기와 문화의 변화
2. 사대부, 사대부 가족 및 관계망
3. 사대부의 정신세계 및 전향(轉向)
제1장 군자와 소인의 변
1. 들어가며
2. 도덕적 인격으로부터 군자와 소인의 변을 봄
3. 정치적 인격으로 본 군자와 소인의 변
4. 군자, 소인의 변의 역사 전향
5. 나가며
제2장 출사와 은둔의 곤혹
1. 들어가며
2. 출처(出處) 진퇴(進退) - 사대부의 ‘대한(大閑)’
3. 출사 아니면 은둔, 사대부의 곤혹
4. 출사 은둔관의 새로운 동향
5. 출처(出處)와 사은(仕隱) - 사대부의 선택
6. 나가며
제3장 충효절의의 딜레마
1. 들어가며
2. 사대부의 충효 관념과 그 방향 전환
3. 사대부의 절의 관념과 그 방향 전환
4. 사대부 충효 절의의 행위 실천
5. 나가며
제4장 생사의 선택
1. 들어가며
2. 생사관 - 유·불·도의 변석과 합류
3. 사대부의 생사관 및 전향
4. 생사를 앞둔 사대부의 행동 선택
5. 나가며
제5장 아·속 구분과 그 상호 영향
1. 들어가며
2. 아속의 변(辨) - 아와 속의 양분
3. 아속 연동 태세의 형성
4. 사대부의 숭아(崇雅) 의식 및 정교로운 생활
5. 나가며
여 론
1. 명나라 청나라 왕조 교체와 강남 사대부 가문의 쇠퇴
2. 청나라 초기 사대부 유민의 두발 의관 콤플렉스 및 그에 관한 심리 분석
3. 청나라 초기 예교(禮教) 질서의 재건과 사대부 정신사(精神史)에서의 파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