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저자의 말 5
Ⅰ. 서언 11
Ⅱ. 영학의 수용과 낙육재 설치 17
1. 영학營學의 수용 18
2. 조태억의 낙육재 설립 26
3. 조현명의 낙육재 중창과 기반 조성 30
1) 낙육재 절목 38
2) 장서 45
4. 낙육재 운영과 학습 51
1) 학전 규모 51
2) 운영비 53
3) 학습 58
Ⅲ. 후대 감사의 낙육재 관심과 교육 의례 73
1. 낙육재 관심 74
1) 조시준·정동관·정만석 감사의 재정 확충 74
2) 윤광안 감사의 낙육재 증축 75
3) 엄세영 감사의 낙육재 중수 78
4) 조기하·이헌영 감사의 관선당 중수 82
2. 교육 의례의 실상 86
1) 정읍례 86
2) 향음례 98
Ⅳ. 인재 선발과 낙육재 동연생 111
1. 인재 선발 112
2. 낙육재 동연생 126
1) 인적 규모 126
2) 거재 횟수별·연령별·지역별 통계 132
3) 문집을 남긴 재생들 138
4) 재생들의 낙육재 관련 글 142
5) 한말 애국 계몽가 176
Ⅴ. 낙육재 교육이 대구 교육 문화에 끼친 영향 181
Ⅵ. 결어 189
• 참고문헌 196
• 색인 201
〈부록 1〉 낙육재 동연록 209
〈부록 2〉 낙육재 도서목록 234
〈부록 3〉 낙육재 『시부詩賦』[재록] 영인본 282
〈부록 4〉 낙육재 『재록齋錄』영인본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