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原著者 序文
감사
일러두기
「朝鮮禪敎史」를 번역하면서
발간사
제1편 교학 전래의 시대
제1장古朝鮮
제2장삼한과 삼국의 정립
제3장 해동불교의 기원
제4장 고구려 및 백제의 멸망과 불교의 성쇠
제5장 삼국 통일과 신라의 교학
제6장 大賢의 唯識, 勝詮의 華嚴
제2편 禪宗의 흥기시대
제1장 해동 禪宗의 시작
제2장 慧昭, 惠哲, 體澄, 無染의 禪風
제3장 梵曰, 道允, 智詵, 行寂, 順之 등의 禪風
제3편 禪教 并立의 시대
제1장 고려의 태조와 여러 禪師
제2장 敎禪의 융창과 文敎의 발흥
제3장 鼎賢의 瑜伽, 義天의 천태, 李資玄의 선
제4장 學一, 坦然의 禪風 및 僧人의 타락
제5장 知訥의 禪學 獨創
제6장 了世의 參禪, 高宗의 刻藏과 시대사상
제7장 承逈의 楞嚴禪과 慧諶의 「선문염송」
제8장 天英, 冲止의 興禪, 紹瓊의 西來, 見明의 博文
제9장 指空의 禪機
제10장 復丘의 利生과 普愚의 接化
제11장 惠勤의 간화선
제12장 混修, 覺雲의 宗風과 粲英의 法燈
제4편 禪敎의 쇠퇴시대
제1장 조선 초기의 禪敎
제2장 배불의 기세와 涵虛堂의 玄風
제3장 세조의 興法과 守眉, 智嚴 등의 門風
제4장 普雨, 一禪, 靈觀
제5장 일본군의 침입과 휴정의 활동
제6장 休靜 문하의 龍象
제7장 靈奎, 敬軒, 印悟
제8장 浮休善修, 碧巖覺性, 虛白明照
제9장 白谷處能, 楓潭義諶, 기타의 宗師
제10장 翠微守初와 栢菴性聰의 문류
제11장 月潭雪霽, 霜峰淨源, 月渚道安, 喚醒志安, 晦菴定慧
제12장 禪敎혼합, 北斗숭배, 「불조원류」
제13장 黙菴最訥, 蓮潭有一의 博學鴻詞
제14장 雪坡尚彥, 兒菴惠藏, 華嶽知濯, 白坡亘璇
제15장 草衣意恂 優曇洪基
제16장 混元世煥, 梵海覺岸, 雪竇有炯, 徐震河
제17장 조선의 종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