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총서를 펴내며
제1부 근백년 철원의 사회변화
전통 시대 철원과 김화 고을의 도시 구성과 풍경
- 이기봉 (국립중앙도서관 학예연구관)
철원 · 김화지역의 교통로 변화와 읍치(邑治)의 이동
- 김종혁 (강원대 연구교수 · 역사지도공작소 소장)
19세기 말~20세기 초 철원·김화지역의 개신교 수용과 사회변화
- 홍승표 (연세대 강사 ·한국기독교 역사학회 연구이사)
철원과 철원 노동당사의 건축적 특징
- 김기주 (한국기술교육대 교수)
A.S.C 영상자료를 통해 본 한국전쟁과 철원
- 노성호 (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원)
한국전쟁 전후 철원군 중심지 변동과 구호주택 건설
- 김영규 (철원역사문화연구소 소장)
제2부 금강산전기철도의 개통과 철원
전통 시대 금강산 유람문화 295
- 이상균 (강릉원주대 교수)
조선 시대 금강산 가는 길
- 권혁진 (강원한문고전연구소 소장)
일제강점기 금강산전기철도 건설과 금강산 개발
- 이부용 (강원대 연구교수)
응접실 속 금강산 - 1932년 금강산협회의 설립 배경과 의의
- 손용석 (서울역사편찬원 연구원)
금강산전철과 정연리 - 평화 삼각지를 꿈꾸며
- 정근식 (서울대 명예교수)
금강산전철 개통 100주년의 의미
- 송영훈 (강원대 교수)
부록
태봉학회 학술 활동
- 김영규 (태봉학회 사무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