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1장_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국제 연대: 방법론적 모색 / 정근식
1. 문제의 제기
2. 민주화운동과 국제 연대를 바라보는 시각
3.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국제 연대의 형성
4. 1980년대 국제 연대의 발전과 1990년대의 전환
5. 맺음말
2장_ 프로테스탄티즘과 민주주의 정신: WCC의 아시아 민주화운동 지원과 국제 연대 / 김학재
1. 한국의 민주주의와 국제 연대
2. 이론적 틀: 초국적 사회운동과 규범의 확산 및 수용
3. WCC와 아시아 민주주의 지원
4. CCA와 아시아 민주주의 지원: 도시산업선교회
5. 지정학과 민주주의: 미국의 민주화 촉진 활동
6. 맺음말
3장_ 한국 노동운동의 국제 연대: 민주화, 세계화, 그리고 집합기억과 연대성 / 권영숙
1. 집합기억과 동아시아
2. "동아시아는 없다", 그러나 국제 연대는 가능하다
3. 국제 연대의 개념과 경계 설정
4. 국제 연대에 대한 이론적 검토
5. 노동운동 국제 연대의 지역적ㆍ전 지구적 조건: 민주화와 세계화
6. 한국 노동운동 국제 연대의 역사적 전개
7. 맺음말
4장_ 민족의 농민에서 세계시민으로: 한국의 농민운동과 ‘농업 개방 반대’의 동아시아 연대 / 주윤정
1. 머리말
2. "조직화 운동"에서 "농업 개방 반대" 운동으로
3. 국제 연대와 동아시아의 농민운동
4. 맺음말
5장_ 결론 / 정근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