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머리말
안동 신시장의 역사/강 윤 정
1. 안동 구시장의 확장과 신시장의 형성
2. 신시장 화재와 재건, 이후 외형 변화
3. 신시장 베전골목과 오일장
4. 안동 중앙고추시장
5. 신시장 ‘오고가게 청년몰’
안동 중앙신시장 상인회의 운영과 시장 활성화 전략/이 중 구
1. 시장과 상인회
2. 상인회의 구성과 운영 방식
3. 상인회의 활동과 시장 활성화 사업
4. 상인회의 과제와 전망
안동 신시장 경제의 특성과 변화/이 한 승
1. 신시장 경제의 특성
2. 지역민을 통해 본 신시장 경제의 특성
3. 신시장 상점의 업종별 경제 상황
4. 신시장 노점 경제의 특성
신시장의 일상과 시장민속의 현재성/강 석 민
1. 시장민속의 일상성과 교차성
2. 품목별 결사체의 사회적 구성과 운영
3. 시장 환경의 변화와 관계 구성의 재편
4. 연중행사로 본 신시장 민속의 현재적 의미
물질부터 의례까지, 종교 상품으로 읽는 신시장 이야기/안 솔 잎
1. 종교 상품과 신시장의 공간성
2. 물질을 통해 맺어지는 관계의 양상
3. 의례를 통해 맺어지는 관계의 양상
4. 신시장을 매개하는 종교적 관계들과 그 의미
번화가에서 구도심으로, 신시장 여가문화의 두 풍경/김 정 현
1. 신시장 여가문화를 바라보는 관점
2. 신시장 여가문화의 전개와 특징
3. 신시장 여가문화의 쇠퇴와 제도화
4. 여가문화로 다시 읽는 신시장
안동 신시장 의례음식의 생산과 소비전통/박 선 미
1. 안동 신시장과 의례음식 문화
2. 안동간고등어의 생산과 소비전통
3. 안동문어의 생산과 소비전통
4. 떡류ㆍ전류의 생산과 소비전통
5. 보신탕 소비전통의 단절
시장과 단골, 관계가 만들어 낸 이야기/공 다 해
1. 전통시장의 단골문화
2. 중앙신시장의 단골문화와 공동체성
3. 온라인 시장의 출현과 단골문화의 융합
4. 소비환경의 변화에 따른 단골문화 변환의 의미
5. 전통시장 디지털화의 한계와 전망
안동 중앙신시장의 가로구조와 건축 공간/정 연 상
1. 문화유산으로서 안동 도심의 시장
2. 중앙신시장 형성과 가로구조
3. 안동 시장의 상업건물
인적자원으로써 청년 인식과 안동 중앙신시장 활성화를 위한 시도/정 민 지
1. 청년과 전통시장 육성의 이정표
2. 청년과 시장의 접붙임
3. 중앙신시장 아케이드 아래의 청년들
4. 청년 담론 너머: 지역을 휘돌기
한 해의 기록, 사진으로 본 신시장 오일장의 풍경들/최 민 지
1. 사진으로 보는 신시장 오일장의 변화
2. 오일마다 펼쳐지는 다채로운 풍경들
3. 너른 마당에서 좁은 골목으로
4. 전통의 자리 혹은 변화의 경계에서
5. 관점 너머, 상인들이 일궈내는 공통의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