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범례
1부 국제관계와 대외정책의 변화
제1장 전근대 서유럽 세계의 진출과 에도막부의 국제관계 변화
1. 머리말
2. 서유럽 세계의 동아시아 진출
3. 쇼쿠호기(織豊期) 서유럽 세계의 일본 진출과 금교정책
4. 에도막부의 서유럽 관계 변화
5. 에도막부의 서유럽 통제와 외교 설정
6. 맺음말
제2장 근세 ‘일본형 화이질서’로 본 국제관계 재고(再考)
1. 머리말
2. 전근대 일본의 세계관과 화이의식 변화
3. ‘일본형 화이질서’론의 구조와 특징
4. 일본의 ‘화이질서’론에 대한 평가와 재고
5. 맺음말
제3장 ‘시마바라(島原)·아마쿠사(天草)의 난’으로 본 아마쿠사 시로(天草四郞)의 신격화와 근세적 내셔널리즘
1. 머리말
2. ‘난’ 이전 시로(四郞)의 행적과 그리스도교 입문
3. 시로의 신격화와 기적
4. ‘난’에 보이는 시로의 역할
5. ‘난’의 영향과 근세적 내셔널리즘
6. 맺음말
제4장 (島原)·아마쿠사(天草)의 난’으로 본 에도막부와 네덜란드의 공조(共助) 관계
1. 머리말
2. 근세 초기의 일란관계(日蘭關係)와 ‘난(亂)’
3. 네덜란드의 참전과 일란 공조의 실체
4. 에도막부의 네덜란드 참전 평가와 그 영향
5. 맺음말
제5장 근세 일본의 해난구조정책과 ‘4개의 창구’
1. 머리말
2. 해난구조의 나가사키(長崎) 체제화
3. 동아시아 선박의 해난구조
4. 네덜란드 선박의 해난구조
5. 맺음말-해난구조와 ‘4개의 창구’ 관계에 대해서
2부 대외인식과 영토관의 변화
제6장 중근세 일본의 사찬지도(私撰地圖)로 본 ‘삼도영토관(三島領土觀)’
1. 머리말
2. 중세 「行基圖」와 ‘삼도영토관’의 출현
3. 근세 전기 「行基式日本圖」와 ‘삼도영토관’의 계승과 정착
4. 근세 후기 「赤水圖」와 ‘삼도영토관’의 잔영(殘影)
5. 맺음말
제7장 근세·근대 일본의 관찬지도(官撰地圖)로 본 영토인식 변화
1. 머리말
2. 17-18세기 관찬지도와 ‘삼도영토관(三島領土觀)’
3. 19세기 「伊能圖」와 ‘삼도영토관’의 붕괴
4. 메이지(明治)시대 ‘사도영토관(四島領土觀)’의 정착
5. 맺음말
제8장 전근대 ‘조어도제도(釣魚島諸島)’에 대한 중·일의 영토인식
1. 머리말
2. 명대(明代)의 조어도제도 인식
3. 청대(淸代)의 조어도제도 인식
4. 맺음말
제9장 근세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