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이 책은 2012년 8월 2일 작고한 강금원 회장 일대기를 돌아본 소전(小傳)이다. 생전 그의 육성과 주변 사람들의 증언을 토대로 쓰였다. 일대기긴 하지만, 이 책을 관통하는 큰 줄기는 노무현과 강금원이 나눈 의리와 우정에 관한 것이다. 강금원이 노무현을 본격적으로 후원한 건 1998년 종로구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을 때부터다. 그의 첫인상을 노무현은 이렇게 회상한다.우정은 단단하고, 의리는 한결같았다
-고 강금원 회장 소전(小傳)
강 회장은 ‘모진 놈’ 옆에 있다가 벼락을 맞은 것이다. 이번이 두 번째다. 미안한 마음 이루 말할 수가 없다. (…) 강 회장의 도움이 아니었더라면 나는 대통령이 아니라 파산자가 되었을 것이다. 강 회장은 아직도 그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지만 나를 원망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는 나에게 단 한 건의 이권도 청탁한 일이 없다. 아예 그럴만한 사업에는 손을 대지 않았다고 한다. (…) 나는 사람들에게 가급적 우리 집에 오지 말라고 한다. 그러지 않아도 사업하는 사람들은 오겠다는 사람도 없었다. 사업을 안 하는 사람이라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어디 취직이라도 할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봉하에 오기가 어려울 것이다. 이런 봉하에 강 회장은 매주 하루씩 다녀갔다. _2009년 4월 노무현 전 대통령이 쓴 《강금원이라는 사람》에서
1988년 5공 청문회. 5공화국 주역들과 일부 재벌의 잘못을 낱낱이 예리하게 지적하는 노무현 의원 모습은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그는 단박에 정치 스타로 떠올랐다. 그날 이후 그를 주목한 이가 있었다. 강금원이란 사람이다.
“검사장 따귀부터 때려야겠다”
정치인 노무현 인생에서 (주)창신섬유 강금원 회장은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그의 굳건한 후원자였을 뿐만 아니라 그를 대통령으로 만든 결정적인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그 덕을 보기보다 오히려 두 차례 검찰 조사를 받고, 두 차례 구속되었다. 이 때문에 노무현은 2009년 4월 강금원이 두 번째로 구속되었을 때 “‘모진 놈’ 옆에 있다가 벼락을 맞은 것”이라며 “미안한 마음 이루 말할 수가 없다”고 괴로워했다.
더욱이 당시 강금원 회장은 뇌종양 환자였다. 대전지검은 그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의 횡령 혐의로 구속, 기소했다. 강금원은 회사를 양심적이고 건전하게 운영해 왔고, 노 대통령 재임 기간에 사업을 확장하기는커녕 축소했노라 항변했다. “조금이라도 확장하는 것이 대통령
에게 누가 될 수도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자신을 비롯한 노 대통령 측근들에 대한 수사가 “‘이명박 정부의 노무현 대통령 죽이기’ 음모”라는 일침도 잊지 않았다.
강금원은 자수성가한 사업가였다. 어렵게 학업을 마친 후 입사한 회사에서 염색 기술을 배웠고, 오래 경험과 노하우를 쌓아 창신섬유를 설립했다. 2000년대에는 골프장 사업에도 진출해 시그너스 컨트리클럽(CC)을 운영하고 있었다. 부동산 투기나 특혜가 아닌 기술력과 제품 품질로 회사를 성장시켰노라 자부하는 기업인이었다. 이런 사람을, 더욱이 뇌종양을 앓는 환자를 검찰이 다시 구속하자 노무현은 격노했다.
새삼 3년여 전 그의 구속에 격노했던 생전의 노무현 대통령 모습이 떠올랐다. 눈에 눈물이 가득한 대통령. 화난 목소리가 봉하마을 사저의 천장을 찔렀다. “나쁜 놈들. 성한 사람도 아닌데…… 대전지검으로 가자. 검사장 따귀부터 한 대 때려야겠다. 그러면 누가 답해도 답하겠지. 암환자한테 왜 이런 짓을 하는지. 누가 시켜 이 따위 짓을 하는지. 가자.” -39쪽에서
의리를 지킨다는 것
이 책은 2012년 8월 2일 작고한 강금원 회장 일대기를 돌아본 소전(小傳)이다. 생전 그의 육성과 주변 사람들의 증언을 토대로 쓰였다. 일대기긴 하지만, 이 책을 관통하는 큰 줄기는 노무현과 강금원이 나눈 의리와 우정에 관한 것이다.
강금원이 노무현을 본격적으로 후원한 건 1998년 종로구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을 때부터다. 그의 첫인상을 노무현은 이렇게 회상한다.
모르는 사람한테서 전화가 왔다.
“후원금은 얼마까지 낼 수 있지요?” 전화로 물었다.
“1년에 5000만 원까지 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무실로 온 사람이 강 회장이다.
“나는 정치하는 사람한테 눈곱만큼도 신세질 일이 없는 사람입니다.”
첫마디를 이렇게 사람 기죽이는 이야기로 시작했다. 눈치 안 보고 생각대로 말하고 하고 싶은 대로 하는 사람이구나 싶었다. 그래서 경계를 하지 않았다. 인연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2009년 4월 노무현 대통령이 쓴 《강금원이란 사람》에서
강금원은 노무현의 소신을 굽히지 않는 우직함과 일관성을 믿었다. 노무현은 원칙과 상식이 통하는 사회를 실현하려 했고, 무엇보다 사람들을 분열시키는 지역주의를 넘어서고자 했다. 한국 사회에서 3연(지연, 학연, 혈연)을 극복해서 새로운 정치를 구현하고자 했던 정치인과 제품과 기술로 시장을 개척해 성취하려고 했던 기업인이 원칙과 상식이라는 공통의 가치로 의기투합한 것은 어찌 보면 필연이다.
강금원은 특히, 지역주의에 도전하는 노무현 모습에 크게 감동했다. 강금원은 전북 부안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만석꾼 소리를 듣던 집안이 아버지 사업 실패로 몰락한 후 온 가족이 상경했다.